"위안부는 성노예"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자료 공개

2016-08-19 22:00

add remove print link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시민단체가 중심이 돼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를 세계기록유산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시민단체가 중심이 돼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를 세계기록유산으로 올리기 위해 유네스코에 제출한 자료(사진) 일부가 유네스코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이 자료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성노예로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19일 확인됐다 / 이하 연합뉴스

기사 이미지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공동 등재를 위한 국제연대위원회'가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 2천744건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본부에 등재 신청했다며 2016년 6월 1일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유네스코에 제출된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에 피해자가 성노예 상태였다고 규정됐으며, 진실을 밝히려는 노력이 전쟁 중 성폭행(강간) 등에 대한 문제 제기로 이어졌다는 평가가 담긴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해 한국·일본·중국 등 각국 시민단체가 유네스코에 제출한 신청서는 "위안부는 1931∼1945년에 일본군을 위해 성노예 상태를 강요받은(forced into sexual slavery) 여성들이나 소녀들을 칭하는 완곡한 용어"라고 설명한 것으로 19일 확인됐다.

일본 정부나 보수·우파 세력은 성노예라는 기술에 강하게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014년 10월 중의원에 출석해 "일본이 국가적으로 성노예로 삼았다는 근거 없는 중상이 세계에서 이뤄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유네스코에 제출된 문서에는 일본군이 성노예 제도를 설립·운영했으며 이 과정에서 '성폭행이나 성병을 방지하고 병사의 사기를 고양하며 정보 유출을 통제한다'는 논리가 활용됐다는 설명도 담겼다.

이 문서는 "위안소가 민간에 의해 운영된 경우에도 일본군이 여전히 운영을 통제했다"며 위안부 제도를 주도한 것이 일본군이었음을 강조했다.

또 위안부 제도를 활용해 모집한 여성 외에도 전선에서 붙잡힌 여성도 위안부와 비슷하게 됐음을 보여주는 문서들도 제출됐다고 밝혔다.

일본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위안부 피해자의 수에 관해서는 "어림잡기 어렵다"면서도 "한 일본 역사학자는 전쟁터에서 성폭행당한 여성을 제외하고도 8만∼20만 명의 여성이 강제로 노예가 된 것으로 추산한다"고 소개했다.

신청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학순(1997년 작고) 씨가 1991년 8월 14일 위안부로서 받은 고통을 공개적으로 증언하면서 위안부 문제가 본격적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고 경과를 전했다.

위안부 문제의 진상을 밝히려는 노력이 전쟁 중 벌어지는 성폭행과 성노예 문제를 전 세계가 인식하도록 했으며 이처럼 심각한 인권 침해에 대한 국제 기준을 바꾸게 했다고 문서는 평가했다.

신청서에 따르면 위안부 제도에 관한 공적인 자료와 사적인 자료 563건, 위안부에 관한 자료 1천449건, 위안부 문제 해결에 관한 자료 732건 등 모두 2천744건의 자료가 제출됐다.

여기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 자료도 포함됐다.

한국 기관 가운데는 국가기록원, 독립기념관,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헌법재판소 등이 관리 문서가 세계기록유산 후보가 되는 것에 동의했다.

이런 사실은 위안부 관련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목표로 제출된 기록 일부가 최근 유네스코 홈페이지에 공개됨에 따라 파악됐다.

일본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관련 자료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는 것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가 강하며 자료 공개를 계기로 견제 시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정부는 작년에 난징(南京)대학살 관련 자료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자 심사 과정이 공정성·객관성을 유지하지 못했다며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이는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여겨진다.

산케이신문은 제출된 자료 가운데 공문서의 비율이 30% 미만이라며 "의문투성이다.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구술 기록이나 활동자료가 기록유산에 어울리겠는가"(다카하시 시로<高橋史朗> 메이세이<明星>대 특별교수)라는 의견을 19일 지면에 싣는 등 자료의 가치를 깎아내렸다.

home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