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만 되면 죽겠다” 며느리들의 우울한 추석

2017-09-30 13:10

add remove print link

특히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 등과 겹치면서 열흘에 달해 주부들이 느끼는 부담이 더 크다.

(전국종합=연합뉴스) 변우열 기자 = 결혼 5년 차인 주부 김모(36)씨는 며칠 전부터 신경이 곤두서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난다.

이하 연합뉴스
이하 연합뉴스

시댁에서 차례상과 음식을 준비하고, 밀려드는 손님을 맞으며 긴 추석 연휴를 보낼 일을 걱정하다 보니 지레 소화도 안 되고 두통에 시달리는 '명절 증후군'이 찾아온 것이다.

김씨는 음식 만들기가 익숙지도 않은 결혼 첫해인 2013년 추석 경북에 있는 시집에서 며칠간 제수 준비를 하고 끼니때마다 식사를 챙기느라 '음식과의 전쟁'을 치렀다. 설 연휴가 끝난 뒤 며칠을 끙끙 앓으면서 출근도 하지 못했다.

그 후 명절만 다가오면 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그나마 올해 설에는 직장의 당직을 핑계로 시집을 가지 않아 무사히 설 연휴를 보냈다. 그러나 이번 추석 연휴는 10일간 이어지는 탓에 이런저런 이유를 둘러대더라도 시집을 가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김씨는 "신혼 시절 가뜩이나 어렵게 느껴졌던 시댁에서 익숙지 않은 음식과 차례상을 차리는 것이 너무 힘들었다"며 "친구를 만나겠다며 외출한 미혼의 시누이와 소파에 누워서 TV만 시청하는 남편을 보면서 더 화가 났다"고 불만을 털어놓았다.

그는 "결혼 전에는 명절이 마냥 즐겁기만 했는데, 신혼 초의 힘들었던 기억 때문에 추석과 설만 다가오면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다"며 "올해는 연휴가 길어 직장을 핑계로 시댁에 안 갈 수도 없게 됐다"고 푸념했다.

김씨의 증상은 주부들이 호소하는 전형적인 '명절 증후군'이다.

특히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 등과 겹치면서 열흘에 달해 주부들이 느끼는 부담이 더 크다.

최근 명절 증후군을 호소하면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청주성모병원의 이재영 정신의학과장은 "최근 하루에 2∼3명 정도가 명절 증후군으로 상담을 받으러 온다"며 "올해는 추석 연휴 기간이 예년의 배에 달하는 10일이어서 주부들이 느끼는 압박감이 더 큰 것 같다"고 분석했다.

병원을 찾는 사람 대부분은 우울증이나, 무기력, 잦은 짜증 등 심리적 변화를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불면에 시달리거나 몸살, 두통, 복통 등 신체적 고통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런 명절 증후군이 주부들에게 주는 스트레스의 강도가 만만치 않다.

올해 초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김종성 교수팀이 기혼남녀 5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기혼 여성이 느끼는 명절 스트레스 점수는 32.4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1만 달러 이상의 부채'가 주는 스트레스(31점)보다도 높은 수치로, '부부싸움 횟수가 증가할 때'(35점)와도 비슷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김 교수팀은 "우리나라는 가정 생활 책임이 일차적으로 여성에게 집중돼 있다'며 "여성의 역할이 명절이란 특수 상황에서 더욱 강조돼 여성이 더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1년 중에 가사노동의 강도가 가장 높은 명절을 전후해 주부들이 받는 심리적 부담이 강도높은 스트레스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다.

게다가 매년 치솟는 명절 물가 속에서 차례상과 손님맞이 음식 준비가 주부들에게 적지 않은 압박감을 준다.

명절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가족 내 차별도 명절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손 하나 까닥하지 않는 시댁 식구들과 남자들을 보면서 불만과 화가 쌓인다. 여기에 더해 일가 친척들이 모이면서 시부모, 동서, 시누이들과 생기는 심리적 갈등과 알력도 만만치 않다.

전문가들은 주부들의 명절 증후군을 해소하기 위해 남편 등 가족들의 배려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 과장은 "우리나라의 문화에서 주부들의 명절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방안이 상당히 제한적이지만, 남편을 비롯한 가족들의 충분한 이해와 세심한 배려, 적극적인 협조가 절대적"이라며 "주부가 겪는 육체적, 심리적 고통을 가족이 함께 나누고 이해하는 마음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 "주부 입장에서는 피할 수 없으면 즐긴다는 긍정적인 사고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며 "명절 후 자신만을 위한 여가를 갖는 것이 필요하고, 우울증 등이 2주 이상 지속되면 정신과에서 적절할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home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