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의원, 콘텐츠산업 지역인재 이탈 심화, ‘융합교육원’ 설립 등 대책 시급

2018-10-18 09:37

add remove print link

“콘텐츠산업 수도권 쏠림 심각, 지방은 ‘고사 위기’”

민주평화당 최경환 의원
민주평화당 최경환 의원

전국 콘텐츠산업의 매출액과 사업체수, 종사자수 상당수가 수도권 쏠림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콘텐츠 융합교육원 설립 등 지역 인재양성을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시급히 수립해야 한다는 방안이 제기됐다.

민주평화당 최경환 의원(광주 북구을,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은 18일 열린 한국콘텐츠진흥원 국정감사에서 “콘텐츠산업은 2016년 매출액이 105조원을 넘으며 연평균 7.5%의 성장률로 팽창하고 있지만 전체 매출액의 87%, 사업체수 56%, 종사자수 75%가 수도권에 집중돼 수도권과 지방간 편차가 심각한 상황이다”고 밝혔다.

수도권 콘텐츠기업의 매출액은 2016년 91조7000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87%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비수도권지역 기업의 매출액은 13조6300억원으로 13%에 불과했다.

콘텐츠 산업의 사업체수와 종사자수 또한 수도권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비수도권 지역은 감소하거나 정체되어 있다.

수도권의 콘텐츠산업 사업체수는 ▲2014년 5만9184개 ▲2015년 5만9188개 ▲6만140개로 전국적으로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56.1% ▲2015년 56.4% ▲2016년 56.8%로 매년 소폭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비수도권의 콘텐츠 사업체수는 ▲2014년 4만6257개(43.9%) ▲2015년 4만5825개(43.6%) ▲2016년 4만5651개(43.2%)로 매년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종사자수도 2016년 현재 수도권 기업에는 전체의 75.6%인 45만427명이 종사하고 있는 반면 비수도권 기업에는 24.4%인 14만5079명만이 근무하고 있다.

지역의 콘텐츠기업이 고전을 거듭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전문인력 부족으로, 지역기업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지역의 좋은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이탈하면서 지역콘텐츠 활성화의 선순환 구조가 전혀 형성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 콘텐츠기업의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콘텐츠 융합교육원’ 설립을 통해 기업 수요에 맞는 현장 맞춤형 인재는 물론 미래 선도형 융복합 인재, 청소년 잠재인력 양성 등 지역 인재양성에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콘텐츠진흥원이 지역별 거점기관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지만 기업 육성을 위한 구체적인 역할과 권한이 없어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최경환 의원은 “수도권 콘텐츠기업과 달리 지역 콘텐츠기업들은 고사 직전에 내몰린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며 “지역콘텐츠산업을 살려내기 위해 지속적이고 중장기적인 발전 계획을 수립해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home 노해섭 기자 nogary@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