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에스엠퍼메니쉬,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서 기능성, 섭취 편의성, 지속 가능성 모두 갖춘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방향성 제시

2025-07-08 16:58

add remove print link

디에스엠퍼메니쉬 카이 린 에크 박사, “50세 이상 한국 여성의 주요 영양소 섭취 부족률 최대 75%”... 섭취 편의성 높인 신제형 기술 ‘스프링클잇(Sprinkle-it™)’ 솔루션 제안

글로벌 영양‧건강‧뷰티 기업 디에스엠퍼메니쉬(dsm-firmenich)는 7월 2일부터 4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한국식품과학회(KoSFoST)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소비자 중심의 최신 건강 및 영양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한국식품과학회는 국내 식품과학 분야를 대표하는 학술단체 중 하나로, 디에스엠퍼메니쉬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차세대 건강기능식품의 과학적‧기술적 기반에 대한 글로벌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디에스엠퍼메니쉬 아시아‧태평양 지역 건강, 영양, 케어 학술연구 총괄    카이 린 에크 박사가 2025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디에스엠퍼메니쉬 아시아‧태평양 지역 건강, 영양, 케어 학술연구 총괄 카이 린 에크 박사가 2025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디에스엠퍼메니쉬는 ‘혁신 건강기능식품 기술과 고도화된 표준화 방법 발전을 위한 과학적 논의’ 세션 발표와 패널 토론에 참여했다. 해당 세션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지연 교수의 개회사로 시작되었으며, 세종대학교 임태규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연사로는 디에스엠퍼메니쉬 아시아‧태평양 지역 건강, 영양, 케어 학술연구 사이언스 부문 총괄(Associate Director, Health, Nutrition & Care (HNC) Regional Science APAC)인 카이 린 에크(Kai Lin Ek) 박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민석 교수, 코스맥스NBT 최창윤 팀장이 참여해 발표를 진행했다.

디에스엠퍼메니쉬 카이 린 에크 박사는 ‘차세대 건강기능식품의 과학적 및 기술적 기반’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인구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예방 중심의 건강관리 트렌드를 배경으로 ▲기능성 ▲섭취 편의성 ▲지속 가능성을 아우르는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솔루션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는 디에스엠퍼메니쉬의 자체 디지털 분석 플랫폼 ‘뉴트리뷰(NutriView)’ 데이터를 인용하며, 한국을 포함한 아태 지역 10개국 성인 인구의 상당수가 비타민 A, C, D, 칼슘, 철, 아연 등 주요 영양소에서 평균필요량(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에 미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50세 이상 한국 여성의 경우, 비타민 A, C, D, 칼슘의 섭취 부족률이 75%에 달했다.

디에스엠퍼메니쉬,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 현장
디에스엠퍼메니쉬,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 현장

이러한 섭취 불균형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에크 박사는 기존 제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섭취 포맷인 ‘스프링클잇™(Sprinkle-it™)’ 기술을 소개했다. 이 기술은 비타민과 미네랄 등 필수 영양소를 보다 익숙하고 편리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음식 위에 뿌려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미세 과립형 제형이다. 글로벌 소비자 테스트 결과, 맛과 식감에 대한 만족도가 8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장기 섭취 시에도 89%의 높은 섭취 순응도를 보였다.

에크 박사는 “건강기능식품은 이제 단순 효과뿐만 아니라, 소비자 경험, 섭취 편의성, 지속 가능성까지 고려한 새로운 기술과 접근이 필요하다. 디에스엠퍼메니쉬의 스프링클잇(Sprinkle-it™) 기술은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대표적인 차세대 솔루션으로, 기존 정제, 파우더, 액상 형태 대비 높은 소비자 선호도와 섭취 지속률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열린 패널 토론은 한양대학교 고광웅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되었으며, 디에스엠퍼메니쉬 아시아‧태평양 지역 건강, 영양, 케어 부문 응용 및 제형 총괄(Associate Director, Application & Formulation, HNC APAC)인 테리 리(Terry Li)를 비롯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민석 교수, 코스맥스 NBT 최창윤 팀장, 강릉원주대학교 이대희 교수, hy 김용태 팀장, 쎌바이오텍 임상현 부소장이 참여했다.

리 총괄은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전략과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료 표준화 접근 방안에 대해 의견을 공유했다. 리 총괄은 플로우 사이토메트리(Flow Cytometry) 및 디지털 PCR(dPCR) 등 비배양 기반 분석 기술이 아시아를 포함한 주요 글로벌 규제기관에서 점차 채택되고 있는 흐름을 소개하며,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또한 정량 분석의 다변화 및 글로벌 정합성을 고려한 유연한 규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에스엠퍼메니쉬코리아 정은지 대표는 “디에스엠퍼메니쉬는 글로벌 연구개발 역량과 지역 맞춤형 솔루션을 결합해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미래를 이끌고 있다. 한국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수준이 높고 혁신 기술 도입도 빠른 시장인 만큼, 과학 기반의 고품질 원료와 지속 가능한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형 개발을 통해 소비자에게 더 직관적이고 풍부한 건강 경험을 제공하며, 국내 제조사가 내수뿐 아니라 국제 시장에서도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디에스엠퍼메니쉬는 15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세계 최대 비타민 원료 기업 DSM과 향료‧풍미 전문 기업 Firmenich가 2023년 합병하며 출범한 글로벌 기업으로, ‘삶에 진보를 더하다(We bring progress to life)’는 비전 아래 과학 기반의 지속 가능한 영양 솔루션을 통해 전 세계 영양, 건강, 뷰티 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역량을 바탕으로, 오는 8월 개최되는 ‘CPHI/HI Korea 2025’에 참가해 다양한 제형과 맛 솔루션을 선보이며 국내외 파트너들에게 차세대 건강기능식품의 가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home 김상균 기자 ksg@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