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돌파구는 ‘발전단가 인하’~경제성 확보 없이 국민부담 못 줄인다
2025-07-09 15:16
add remove print link
“고수온 주의보 선포처럼” 해상풍력도 신속 대응 필요
[위키트리 광주전남취재본부 노해섭 기자] 해상풍력이 이재명 정부 에너지고속도로 정책의 핵심 과제로 주목받는 가운데, 2030년까지 14.3GW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발전단가(LCOE) 인하와 경제성 확보가 절대적이라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최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는 해상풍력의 발전 단가가 유럽‧중국 등 선진국의 2배에 달한다는 지적이 나왔으며, 신속하고 시장친화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쏟아졌다.
◆국내 대형터빈 생산기반·민간 투자 촉진이 해법
기술 의존도가 높은 대형 터빈 부문에서는 해외업체 독과점이 발전단가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CAPEX(자본 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터빈가격 상승이 사업 경제성 확보를 어렵게 한다는 분석이다.
토론자들은 국내 기업의 대형터빈 개발에 대한 공공부문 주도 R&D 지원, 전략적 제휴 및 기술이전 확충, 그리고 공정 입찰 제도 개선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정진욱 의원은 “해상풍력은 태양광을 넘어 대체불가한 재생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며 “발전단가 인하와 국내 투자 촉진이 성공 관건”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