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금시세(금값) 전망] 글로벌 경제 상황·기술 분석 등 국제 금가격 영향 요인은?
2025-07-27 09:25
add remove print link
지난주 국제 금값 3337달러에 마감

금가격이 기술적 분기점에 진입하면서 향후 방향성에 대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주 국제 현물 금 종가(미국 시각 25일 기준)는 3337달러로, 지지난주 종가(18일 기준) 3350달러 대비 0.39% 하락했다.
FX엠파이어(FXEmpire) 등에 따르면 지난 25일 금은 하루 중 최저가인 3324달러까지 하락한 뒤 일부 지지 신호를 보였다. 이 하락은 상승 깃발(bull pennant) 패턴 하단 추세선에서 멈췄다.
현재 금은 향후 추세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특히 3310달러 지지선이 무너지면 단기 상승 흐름이 무효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더 깊은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조정은 지난 23일 발생한 실패한 상방 돌파 이후 본격화됐다. 당시 깃발 패턴 상단을 돌파하는 듯 보였으나, 후속 매수세가 뒷받침되지 않으면서 되레 하락세로 전환됐다. 25일엔 20일 이동평균선과 50일 이동평균선이 만나는 3343달러 구간도 지지선 역할을 하지 못했고, 금가격은 그 아래로 밀려났다. 이로 인해 단기 상승 추세의 기반이 약화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술적 관점에서 보면 현재 금값은 상승 깃발 패턴의 하단 경계선에 위치해 있다. 이 경계선이 무너지면 하방 압력이 가중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전의 스윙 저점인 3310달러가 다음 주요 지지선으로 여겨진다. 이 지점이 깨질 경우 단기 상승 추세의 전환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 이날 고점인 3373달러를 상향 돌파할 경우 반등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시세는 다시 두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서게 된다.
향후 금가격의 향방은 패턴 수렴의 끝점에 가까워짐에 따라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며 상방 돌파 여부가 주목된다. 만약 이번 주 고점인 3439달러를 넘어서고, 이어서 지난 스윙 고점인 3451달러를 돌파할 경우 상승세는 한층 강화될 수 있다.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사상 최고가인 3500달러를 향한 시도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상승 돌파가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기술적 분석상 주요 상승 목표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 번째는 상승 ABCD 패턴의 100% 확장 목표인 3578달러이고, 두 번째는 보다 큰 규모의 ABCD 패턴 기반으로 한 3689달러 수준이다. 이는 이전 상승 폭과 유사한 비율로 계산된 수치로, 금값의 중기적 상승 여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해석된다.
현재 금 시장은 단순한 가격 조정 국면을 넘어, 중기적인 추세 방향성을 재정립하는 과정에 있다. 단기적으로는 3310달러가 지켜지는지 여부가 관건이며, 상방으로는 3451달러 돌파 여부가 핵심이다. 투자자들은 이 기술적 수준들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