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40% 치솟더니 결국…20년 만에 정부가 특단 조치 내린 한국 '국민 반찬' 정체
2025-08-11 16:14
add remove print link
가격 폭등으로 20년 만에 부활하는 제도
전 세계인이 사랑하는 K-푸드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국민 반찬의 가격이 평년보다 40% 넘게 치솟자, 정부가 20년 만에 특별한 수급 안정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가 특단의 대책까지 내놓는다는 이 음식의 정체는 바로 '마른김'이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0일 마른김 비축 제도 도입을 위해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비축 제도는 가격이 낮을 때 정부가 물량을 확보해뒀다가 급등 시기에 시장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안정화하는 제도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집계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마른김 중품 10장의 평균 소매가격은 1347원으로, 평년 952원보다 41.5%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마른김 가격은 작년 봄부터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1년 반 넘게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연평균 기준으로 살펴보면 마른김 10장 가격은 2023년 1019원에서 지난해 1271원으로 올랐고, 올해는 1384원까지 뛰어올랐다. 이 같은 급등세에 따라 동원F&B, CJ제일제당 등 식품업체들도 조미김 제품 가격을 연이어 인상했다.
마른김 비축 제도는 1979년부터 2006년까지 27년간 운영됐으나, 김 가격 하락과 저장 과정에서 발생하는 품질 저하 문제로 중단된 바 있다. 현재 해수부가 비축하는 수산물은 명태, 고등어, 오징어, 갈치, 참조기, 마른멸치 등 주요 어종 6가지와 천일염에 한정돼 있다.
원래 김처럼 양식으로 생산 가능한 수산물은 비축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지난해에도 '김값이 금값'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며 비축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당시 해수부는 검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올해까지 가격 상승이 지속되자 결국 약 20년 만에 입장을 바꿔 비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최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양식 수산물은 생산 예측이 가능해 비축하지 않았지만, 앞으로는 양식 수산물까지 비축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김값 급등의 배경에는 수출 물량 급증이 자리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과 일본의 김 생산량이 부진을 보이면서 한국산에 대한 수요가 폭증했고, K-푸드 열풍으로 김밥이 세계적으로 알려지면서 수출이 더욱 늘어났다. 이로 인해 국내 공급량이 줄어들면서 가격 상승 압박이 커졌다.
해수부는 "기후변화로 어업 생산량 변동성이 커진 데다 수출 물량이 급격히 늘어나 내수 공급 부족이 우려된다"며 김 비축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정부는 마른김 비축을 위한 예산 증액을 기재부와 협의하고 있으며, 전남 나주에 건설 중인 소비지분산물류센터를 김 저장 시설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냉동 기술을 활용해 마른김의 원료인 물김까지 비축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연구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한국산 김에 대한 해외 선호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어 향후에도 가격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비축 제도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가격 안정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