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드라마 촬영지였다… 도심 속 숨겨진 전국 역사 명소

2025-08-15 13:50

add remove print link

역사 유적지 등 33개 여행지 공개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가의 업적을 기릴 수 있는 여행지를 소개한다.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 유튜브 'tvN D ENT' 영상 캡쳐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 유튜브 'tvN D ENT' 영상 캡쳐

한국관광공사는 광복 80년을 맞아 오는 31일까지 국내 여행 정보 통합 플랫폼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광복절 특집전을 선보인다고 지난 12일 밝혔다.

특집전은 독립운동가의 희생과 업적을 기릴 수 있는 역사 유적지를 비롯해 자유와 평화를 상징하는 33개의 여행지를 소개한다.

◈ 대전 근현대사전시관

옛 충남도청인 대전 근현대사전시관은 대전의 근현대 역사를 품고 있는 공간이다. 공주시에서 대전으로 충청남도청이 이전하면서 신축된 건물로, 밝은 갈색 스크래치 타일 외장재를 사용한 근대 공공건축의 대표적인 예다. 원래 2층 규모였지만, 1960년쯤 폭 넓은 창문과 옆집 모양의 지붕을 갖춘 3층으로 증축됐다.

국가등록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된 이곳은 2013년 전시관으로 개관했다.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대전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만날 수 있다. 전시 외에도 옛 충남도지사 집무실 등을 활용한 다양한 투어가 마련돼 있다.

아울러 이곳은 영화 '변호인'(2013), '서울의 봄'(2023) OCN 드라마 '라이프 온 마스', tvN '미스터 션샤인' 등의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유튜브 쇼츠, 백조맘

구글지도, 대전 근현대사전시관

◈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이곳은 대한제국 시절 항구도시로 성장한 목포의 근현대 역사를 기록하고 전시하는 생활형 역사문화 공간이다. 개항 이후부터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시기까지 목포의 변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2018년 국가등록문화재 제718호로 지정됐으며 기존 일본식 건축과 근대적 외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1898년에 지어진 구 일본 영사관 건물과 1920년대 지어진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건물(근대역사관 2관) 등을 둘러볼 수 있다. 동양척식주식회사는 1908년 일본이 한국에 설립한 국책회사로, 도쿄에 본사를 두고 조선에는 경성 본점과 각 도·읍·항구 도시 지점을 설립했다. 주요 항만과 곡창지대에 지점을 둬 농산물 수탈과 수출을 총괄했다.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 유튜브 '에헤라 티비 : KBS LIFE' 영상 캡쳐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 유튜브 '에헤라 티비 : KBS LIFE' 영상 캡쳐

◈ 안동 임청각

경북 안동 임청각은 한국 근현대사와 독립운동사를 함께 간직한 공간이다. 독립운동가를 11명이나 배출한 독립운동의 산실이자 500년이 넘는 세월을 버틴 민간 가옥이다. 원래 99칸에 달하는 대규모 고택이었으나, 현재는 50여 칸이 남아 있다. '물 맑은 낙동강을 바라본다'는 뜻을 가졌으며,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3년 국가보물 제182호로 지정됐다.

임청각 인근에는 안동 구도심 카페 거리를 비롯해 안동 하회마을, 민속 박물관 등 볼거리가 다양하다. 안동 하회마을은 낙동강이 마을을 감싸 흐른다 해서 ‘하회(河回)’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201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으며 현재도 주민이 거주하며 전통 생활문화가 유지되고 있다.

구글지도, 심청각

◈ 서산 해미읍성

서산 해미읍성은 조선시대 충청도 서부 지역의 군사·행정 중심지로, 왜구 침입에 대비해 세워진 읍성이다. 성 안에는 관아, 군영, 창고 등이 있다. 또 19세기 병인박해 당시, 수천 명의 천주교 신자가 순교한 장소로, 성 안팎에 순교 기념 성지가 조성돼 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훼손됐으나, 1970년대 이후 복원 사업을 진행했다. 현재는 성곽, 문루, 동문·서문·남문, 해자 등이 복원됐다.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전시관을 포함해 성곽을 모두 둘러보려면 약 1~2시간 소요된다.

대전 근현대사전시관,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임청각, 해미읍성뿐만 아니라 항일운동의 흔적과 저항 정신을 기릴 수 있는 도보 여행 코스도 선보인다. 또 온라인 이벤트로 역사 여행지 50여 곳 안에 숨겨진 태극기를 찾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여행지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해미읍성 정문인 진남문(鎭南門). / 연합뉴스
해미읍성 정문인 진남문(鎭南門). / 연합뉴스
구글지도, 해미읍성
home 이서희 기자 sh030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