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자원회수시설, “사회의 책임 있는 결단 필요”~박병규 광산구청장 호소

2025-09-04 17:01

add remove print link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 시민을 위한 용기 필요”

[위키트리 광주전남취재본부 노해섭 기자] 자원회수시설 부지 선정 과정에서 위장전입 논란이 불거지며 사업이 중단된 가운데 박병규 광주시 광산구청장이 4일 자신의 SNS를 통해 이 문제의 본질과 해법을 호소하고 나섰다.

박병규 광주시 광산구청장
박병규 광주시 광산구청장

박 구청장은 최근 SNS 글에서 “문제의 본질은 단순히 위장전입이 아니라, 광주의 쓰레기 처리와 직결된 자원회수시설의 운명”이라며 “전국에서 자원회수시설이 없는 곳은 광주뿐이며, 2030년부터는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전면 금지된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주민과 함께한 소통의 결과…“시설 필요성 다수 공감”

박병규 구청장은 “광산구는 객관적 정보 제공을 위해 권역별 설명회, 21개 동 순회, 하남 벤치마킹까지 주민과 소통하며 사업의 투명성을 지키고자 했다”며 “그 결과, 대다수 주민이 자원회수시설의 필요성에 동의했고 일부는 우리 동네에 들어와도 괜찮다는 의견까지 나왔다”고 밝혔다.

그는 “쓰레기는 매일 나오는데 처리할 시설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상식적인 질문 앞에 많은 시민이 공감했다”면서도 “입지 현실, 예산 등 쉽지 않은 문제도 함께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문제의 책임은 묻되, 미래 위한 합의 절실”

박 구청장은 “위장전입 문제는 법적으로 책임을 묻되, 매일 쏟아지는 생활쓰레기를 처리할 근본 대책은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며 “누군가의 어려움은 곧 우리 공동체의 아픔이니, 정치권과 지역 리더 모두 책임 있는 자세로 해법을 모아야 한다”고 SNS에서 전했다.

이어 “정치인의 책무는 불편한 문제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의 삶과 관련한 중대 사안에 대해 소신 있는 입장과 해법을 내놓는 데 있다”면서 “현 부지가 아니어도 좋으니, 시민 모두의 합의를 하루빨리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사회에서는 “정치적 논란을 넘어서 미래 세대를 위한 자원회수시설 논의가 계속돼야 한다”는 박 구청장의 SNS 메시지에 공감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사안이 일부의 반대나 일시적 논란에 머무르지 않고, 광주 전체의 삶과 환경을 책임지는 방향으로 논의되길 바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home 노해섭 기자 nogar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