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로봇 산업 클러스터화 본격 시동

2025-09-26 13:06

add remove print link

고소작업 건설로봇 실증 인프라 기반, 기업 집적과 산업 확산 거점 도약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가 건설로봇 산업 클러스터화를 본격 추진하며 대한민국 건설산업 혁신 거점 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김제시
김제시

이번 클러스터화는 연구개발(R&D), 실증, 기업지원, 인력양성, 산업 확산까지 연결되는 종합 생태계 구축 전략으로 전개된다.

건설산업은 숙련인력 부족, 고령화 심화, 안전사고 증가, 생산성 저하 등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특히 고소작업은 사고 발생 시 중대재해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 자동화‧로봇화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시는 이러한 흐름에 대응해 지난해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 공모한 ‘고소작업 건설로봇 플랫폼 및 XR 기반 인간‧로봇 협업 기술 개발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국비‧ 지방비‧민자 등 총 475.9억원을 투입해 2027년까지 확장현실(XR) 기반 인간-로봇 원격 협업 작업이 가능한 고소작업 3종 로봇시스템(용접‧도장‧내화뿜칠)을 개발하고, 김제시 백산면 부거리에 실제 건설 현장 적용을 위한 국내 최초‧최대 규모의 고소작업 건설로봇 실증 인프라(연구동, 실증센터)를 구축을 본격 추진 중이다.

아울러 시는 고소작업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건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연계사업도 병행 추진해 나가고 있다. 실제 건축 환경을 재현한 실험 공간을 마련해 로봇의 이동성, 작업성, 안전성을 검증하고, 주택‧산업시설 등 여러 분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김제시는 단일 사업이 아닌 복합‧확장형 건설로봇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이미 특장차 제1·2산업단지와 지평선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특수목적기계 산업벨트를 조성하고 있으며, 지평선 일반산업단지, 스마트팜 혁신밸리 등 대규모 산업‧기술 인프라를 갖춘 도시로, 지역 내 특수목적기계·부품 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로봇·XR 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실증 병행을 통해 기업의 신기술 검증·인증·상용화를 지원하는 개방형 테스트베드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특히, 시는 필드로봇 중심 피지컬 AI 산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 중이며, 이번 건설로봇 클러스터는 해당 전략과 맞물려 신산업 융합의 전진기지 역할을 하게 된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김제시는 건설로봇 산업의 출발점이자 혁신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산업 클러스터화를 통해 기업과 연구기관이 모여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지역과 국가 건설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home 최창우 기자 baekdu@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