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시간에도 한다”… 주식·코인 제치고 직장인 재테크 1위 차지한 '이것'

2025-11-06 10:16

add remove print link

50대 '자산 분산형 투자 성향'

국내 직장인 10명 중 9명은 재테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이 중 60%는 실제로 수익을 낸 것으로 조사됐다.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지난 4일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직장인 회원 3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 재테크 방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6~29일까지 진행됐으며,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74%포인트다.

결과에 따르면 가장 많이 선택된 재테크 방식은 '저축'(83.0%)이었다. 이어 ▲국내 주식(63.5%) ▲해외 주식(43.9%) ▲펀드·상장지수펀드(ETF)(37.4%) ▲코인(30.0%) ▲현물(19.0%) ▲부동산(18.1%) 등 순이었다.

연령대로 살펴보면 20~30대는 주식과 코인 등 금융 투자 비중이 높았다. 40대 이상은 부동산 투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50대는 ▲저축(78.6%) ▲국내 주식(71.4%) ▲펀드·ETF(37.8%) ▲부동산(29.6%) 순으로, 자산 분산형 투자 성향을 보였다.

결혼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미혼과 기혼 모두 ▲저축(미혼 88.5%, 기혼 77.1%)과 ▲국내 주식(미혼 61.7%, 기혼 65.3%)을 주요 재테크 수단으로 꼽았지만, 부동산 투자는 기혼(28.2%)이 미혼(8.7%)보다 세 배 이상 높았다.

이들은 재테크의 주요 목적으로 '목돈·여유 자금 확보'(49.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노후 자금 마련(30.3%) ▲내 집 마련(12.5%) 순으로 나타났다.

재테크 성과에 대해서는 '이익을 냈다'는 응답이 60.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본전(23.8%) ▲손실(16.1%)이 응답이 많았다. 특히 20대의 72.2%가 '수익을 냈다'고 답한 반면, 50대 이상은 '손실을 봤다'는 응답이 28.6%로 가장 높았다.

응답자 중 49.6%는 '업무시간 중에도 재테크를 한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매우 자주 한다(7.4%) ▲종종 한다(42.2%)로, 절반 가까운 직장인이 근무 중에도 투자 관련 활동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무 외 재테크 투자 시간은 ▲30분 미만(51.0%) ▲30분~1시간(31.4%)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편 재테크를 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7.8%)의 절반은 ‘여유 자금이 없어서’(50.0%)를 이유로 꼽았다. 20~30대는 ‘방법을 몰라서’, 40~50대는 ‘자금 부족’을 주된 이유로 들었다.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한 이미지.

한편 최근 직업을 둘 이상 가진 이른바 'N잡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몇 년 새 물가가 급등하면서 본업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근로자의 월평균 실질 임금은 357만 3000원으로, 코로나19 사태 여파가 있던 2021년 (359만 9000원)보다 오히려 2만 6000원(0.7%) 줄었다.

이처럼 주거비와 식료품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음에도 경기 침체로 월급이 늘지 않으면서 부업을 하나만 하는 게 아니라 둘 이상 하는 '다(多)잡러’도 적지 않다.

지난 3일 구인·구직 플랫폼 ‘알바천국’에 따르면 지난 9월 직장인 회원 395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의 73.4%(290명)최근 1년 이내에 본업 이외에 아르바이트 등 부업을 알아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 비율은 20~30대 청년층뿐 아니라 40~50대 이상 중장년층도 높았다. 40대가 80%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73%) ▲20대(69%) ▲50대 이상(67%) 순이었다.

부업으로 가장 인기 많은 업종은 일반 음식점, 호프·일반 주점 등이 포함된 외식·음료(32%)였다. 이어 ▲매장 관리 및 판매 ▲서빙, 주방 보조·설거지 등 서비스(28%) ▲생산·건설·노무(20%) 등 순이었다.

유튜브, 부티플 - 부의 배수를 높여라
home 이서희 기자 sh030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