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금시세(금값)... 미국 정부 셧다운 장기화에 금가격 껑충

2025-11-07 14:39

add remove print link

3.75g 한 돈 기준 순도별 금가격 공개

골드바 / shutterstock.com
골드바 / shutterstock.com

국내 금시세(금값)가 7일(한국 시각) 오후 상승세(전 거래일 대비)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미국 민간 고용 지표가 노동시장 둔화를 시사하면서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이 커졌고, 장기화된 미국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안전자산 선호가 강화됐다.

국제 현물 금가격은 7일(런던 시각) 오전 5시 20분 기준 전일 대비 0.51% 상승한 3997달러대에서 거래 중이다. 국제 선물 금값 역시 7일(미국 시각) 오전 12시 20분 기준 전일 대비 0.34% 상승한 4004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노동 시장은 10월 정부 부문과 소매업 부문 고용 감소로 인해 일자리 수가 줄었다. 기업들의 인건비 절감 조치와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이 확산하면서 해고 공고 또한 급증했다는 통계가 6일(미국 시각) 공개됐다.

ANZ의 상품 전략가 소니 쿠마리(Soni Kumari)는 “민간 부문 고용지표는 여전히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고, 그로 인해 금 가격에 일정한 지지력이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6일(미국 시각) 달러화는 일주일 만에 최저치로 떨어지며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보였다. 공식 고용 통계가 제한된 상황에서 민간 지표의 부진은 투자자들의 달러 매도세를 유발했다. 통상적으로 고용이 둔화되면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고 이는 금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현재 시장에서는 12월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약 69%로 보고 있다. 이는 전날 약 60% 수준에서 상승한 수치다.

지난주 연준은 금리를 인하했으나 제롬 파월(Jerome Powell) 의장은 올해 추가 인하 가능성이 낮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향후 시장의 초점은 거시경제 지표와 미국 정부 셧다운 종료 시점에 맞춰지고 있다. 미국 의회 내 예산 협상 교착으로 셧다운 사태가 지속되며 연준과 투자자들은 민간 통계를 중심으로 경제 상황을 판단하고 있다.

이자 수익이 없는 금은 통상 저금리 환경이나 경기 불확실성이 높을 때 상승세를 보인다.

대한민국 자본시장을 종합적으로 관장하는 한국거래소 기준 이날 오후 금가격은 다음과 같다.

한국거래소 국내 금시세 / 네이버 증권
한국거래소 국내 금시세 / 네이버 증권

국내 금·은 주요 민간 거래소별 이날 오후 금가격(이하 3.75g 한 돈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한국금거래소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한국금거래소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한국금거래소

순금 : 매입가 82만 3000원 / 매도가 71만 원

18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52만 1900원

14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40만 4700원

백금 : 매입가 31만 원 / 매도가 25만 5000원

은 : 매입가 1만 920원 / 매도가 7910원

한국표준금거래소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한국표준금거래소 금·은 시세 / 공식 홈페이지

▲한국표준금거래소

순금 : 매입가 82만 2000원 / 매도가 71만 1000원

18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52만 2600원

14K 금 : 매입가 '제품 시세 적용' / 매도가 40만 5200원

백금 : 매입가 31만 원 / 매도가 24만 5000원

은 : 매입가 1만 820원 / 매도가 7420원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