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실업 숙련공도 안 가는 조선소 16년차 근로자 월급, 가히 충격적이다 (인증)
2022-10-23 08:16
add remove print link
59세 근로자의 급여명세서
27일 291시간 일했는데...
업무 강도에 비해 임금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알려진 조선업의 열약한 근무 환경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급여명세서가 공개됐다.

한 달에 27일 291시간(일평균 10.7시간)을 일했는데, 세전 266만여 원(세후 233여만 원)을 수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에펨코리아, 개드립 등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에 '사람 구하기 힘들다는 조선소 급여명세서'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최근 올라왔다.
여기엔 경력 16년 차인 59세(1963년생) 근로자 A씨의 지난 1월 급여명세서 캡처본이 담겼다.

명세서에 따르면 그는 지난 1월 총 27일 291시간을 일했다. 구체적으로 △정상근무 1365시간 △유급·주차 105시간 △연장근로(시급 1.5배) 2시간 △휴일근로(시급 1.5배) 32시간 등이다.
이에 따른 A씨의 1월 총급여는 266만5560원이다. 4대 보험 등 각종 세금을 제하면 실수령액은 233만9240원.
이 같은 급여액은 최근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리는 조선업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조선업계에 따르면 업계 수주 실적은 2020년 827만CGT에서 지난해 1746만CGT로 크게 개선되며 인력 수요가 늘고 있다.
하지만 △저임금 △고위험 △불안정한 일자리로 인해 청년들은 물론 구조조정으로 떠났던 숙련 인력도 돌아오지 않아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해 생산직은 2015년 대비 60% 감소했으며 인력 부족 규모는 올해 3분기 7862명에서 내년 2분기 1만711명으로 전망된다.
앞서 대우조선해양 하청노동자들은 2014년에 비해 31%나 줄어든 임금을 정상화해 달라는 요구를 하며 6월 2일부터 파업을 시작했다.
그러다 51일이 지난 7월 22일, 회사가 정한 임금인상률 4.5% 적용과 설·추석 휴가비 50만 원, 하계 휴가비 40만 원 지급에 노사가 합의하며 일단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