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첩보기관 요원 신상 다수 유출...전부 군무원 노트북에서 빠져나갔다
2024-07-29 17:17
add remove print link
군 당국, ‘보안 사고'보다는 ‘간첩 행위’로 보고 수사 중
군 대북 정보 담당 첩보기관인 국방부 국방정보본부 산하 정보사 내에서 정보사 요원 정보가 다수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국회 국방위원회와 군 당국에 따르면 정보사 내부 컴퓨터에 저장된 휴민트(인적정보) 요원 신상과 전체 부대원 현황 등이 담긴 2, 3급 기밀 5~6건이 유출됐다. 해당 기밀에는 정부 기관과 무관한 사업가로 위장한 '블랙요원'의 신상과 활동 국가 등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수사기관에서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부대들의 성격이 있어서 구체적 내용에 대해선 지금 설명해 드리거나 확인해 드릴 사안은 없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해당 자료들은 정보사 현장 요원으로 일하다 전역 후 재취업한 군무원 A 씨의 개인 노트북으로 빠져나갔다. A 씨는 기밀 여러 건을 출력해 이를 파일 형태로 중국 교포(조선족)에게 전송한 혐의를 받는다.

국군 방첩사령부는 지난달 A 씨를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혐의 등으로 입건하고 정확한 유출 정보와 이를 건네받은 중국 교포의 정체 등을 수사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지금까지 단 한 차례도 피의자 소환 조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기밀 정보 다수가 북한으로 넘어간 것으로 보고 ‘보안 사고'보다는 ‘간첩 행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 중이다. 다만 아직 북한과의 연계 증거는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A 씨는 자신이 기밀을 유출한 사실이 없으며 노트북이 해킹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방첩사와 군검찰은 보안규정을 어기고 개인 노트북에 다수의 민감한 기밀을 저장한 점에서 고의적인 범행이라고 보고 있다.
정보사와 군 당국은 기밀 유출 사고가 일어난 뒤 정보요원으로 각국에 파견된 요원들을 신속하게 귀국시키면서 전면적인 대외 활동 금지를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