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업 70% "출산-육아휴직 사용 여성직원 부담스러워"
2013-06-18 12:22
add remove print link
[사진 = 연합뉴스] 정부가 여성 경력단절을 최소화하기 위해 육아휴직제도를
[사진 = 연합뉴스]
정부가 여성 경력단절을 최소화하기 위해 육아휴직제도를 확대시행하려는 의지와 달리 민간기업 70%가량이 출산이나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여성직원을 부담스러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정부의 육아휴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민간기업들은 이와 달리 퇴직을 권유하기도 하는 등 현실적인 부분의 괴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7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여성 직원이 출산 및 육아휴직을 쓰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18일 밝혔다.
결과에 따르면 '대체인력을 구인이 힘들어서'라는 답이 35.3%로 가장 많았으며, '팀원들의 업무 부담 가중' 22.3%, '신규채용 등의 인건비가 증가' 13%, '대체인력의 업무 숙련도 미흡' 11.6% 등 순이었다.
한편 출산 및 육아휴직자가 있는 기업 447개사의 여성 직원들이 사용한 출산 전후 휴직기간은 평균 6개월인 것으로 집계됐다.
법적으로 보장된 출산휴가는 90일,육아휴직은 최대 1년임에 비해 절반에도 못미치는 결과다.
특히 일부 기업들은 출산 및 육가휴가보다 퇴사를 권유하는 곳도 있었다.
기업의 10%가량인 40개사는 해당 제도를 이용한 여성 직원에게 퇴사를 권유한 적이 있으며, 이 중 25개 기업에서는 실제로 퇴사한 직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부의 육아휴직제도는 공직 내에 여성공무원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09년 육아휴직자는 2만945명이었으나, 지난해는 3만8669명으로 4년 새 2배 가량 증가했다.
남성공무원들의 육아휴직도 동기대비 512명에서 2297명으로 4.5배 정도 늘어나 제도가 정착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분석되기도 했다.
정부는 육아휴직제도를 출산장려 임신ㆍ육아, 일과 가정의 양립 등을 해소키 위한 방안으로 시행되고 있다.
특히 내년부터 육아휴직 분할사용 횟수를 1회에서 3회로 늘리고, 적용 아동 연령을 만 6세에서 만 9세로 상향 조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제도가 시행되기 앞서 기업과 사회 전반의 의식 변화가 동시에 이루어져야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