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무슨…" 혼인건수 42년 만에 역대 최저치로 떨어져

2017-03-22 17:40

add remove print link

뉴스1 (세종=뉴스1) 이훈철 기자 = 지난해 혼인건수가 1974년 이후 42년만에 역대

뉴스1

(세종=뉴스1) 이훈철 기자 = 지난해 혼인건수가 1974년 이후 42년만에 역대 최저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적령기인 30대 초반 인구가 줄고 실업률 증가로 결혼을 미루는 젊은층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결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혼인 감소에 한 몫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건수는 28만1600건으로 전년(30만2800건)보다 7.0%(2만1200건) 감소했다.

이는 1974년 혼인건수가 25만9100건을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인구 1000명당 혼인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도 지난해 5.5건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같은 혼인감소는 경기불황과 인구감소,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경기불황에 따른 실업률 증가 등 경제적 측면이 젊은층의 결혼 감소를 불러오는 주 요인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15~29세 청년실업률은 9.8%를 기록하며 통계집계 이후 역대 최고치로 치솟았으며 전체 실업자는 100만명을 돌파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30대 실업률이 증가하고 전월세가격이 높아지는 등 결혼과 관련된 경제적 여건들이 좋지 않은 점이 결혼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고용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직장을 갖는 시기가 늦어지는 점도 결혼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해 남자의 평균초혼연령은 32.8세였으며 여자의 초혼연령은 30.1세로 조사됐다. 이는 10년 전에 비해 남녀 각각 1.8세, 2.3세 늦어진 것이다.

또 주 혼인연령대인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의 인구가 전년대비 17만명 감소한 것도 지난해 결혼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로는 각각 2.1%, 2.7%씩 결혼적령기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대 흐름에 따라 결혼에 대한 인식도 변화했다.

2016년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2000년 이전까지 미혼 남자 중에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0명 중 7명이었으나 2014년의 경우 이 수치가 10명 중 5명으로 줄었다. 2014년은 혼인건수의 급격한 감소가 시작된 해이기도 하다.

이 과장은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보다 미혼 남자 중에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거나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이 더 많아지고 있다"며 "최근 혼인 건수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계속해서 빠지고 있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영향 중 하나"고 말했다.

home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