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업계, '임단협 전운'…하투 '비상'

2018-07-02 14:50

add remove print link

현대·기아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 임단협 난항 불가피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현대자동차 노조가 임단협(임금 및 단체협상) 결렬에 따른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이같은 투쟁 행위가 자동차업계 전반으로 확대될 조짐이다. 한국GM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임단협을 두고 사측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이날 오전 조합원 총회를 거쳐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다. 중앙노동위원회가 노사간 양측의 중재가 힘들다고 판단할 경우 현대차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이 가능해진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5월부터 12차례에 걸쳐 교섭을 진행했지만 임금 인상폭에 대한 이견으로 결렬을 선언한 상태다.

현대차 노조가 파업을 본격화 할 경우 자동차 업계에 미치는 파장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4월 법정관리 위기로 임단협 문제를 빨리 마무리 지은 한국GM을 제외하곤 국내 완성체 업체 대부분이 임단협에 대한 노사간 갈등의 불씨가 남아있는 상태다.

현재로선 기아차 노조가 현대차와 비슷한 절차를 밟을 공산이 크다. 기아차 노조는 올 임단협에서 기본금 11만6276원 인상 외로 기존 상여금을 기본급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

이는 지난해 기아차 노조가 사측을 상대로 벌인 통상임금 소송서 승소한 데 따른 것으로, 법원은 기아차에 정기적으로 지급한 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볼 수 있다며 총 4223억원(원금 3126억원, 지연이자 1097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5년치를 소급적용하면 사측이 근로자에게 지급할 금액은 거의 1조원 수준으로 연간 2000억원에 달한다.

사측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상여금이 기본급에 포함되면 기본급은 물론 퇴직금도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추가 협상 여지가 있다고 하더라도 노사간 이견 차이가 커 타결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비교적 노사 관계가 원만한 르노삼성과 쌍용차도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 지난해 진통 속 3년 연속 무분규 교섭에 성공한 르노삼성은 올해 내수 판매 감소에 따른 실적 악화로 노사간 '후한 협상'을 기대하긴 어렵다.

쌍용차 역시 9년 연속 무분규 교섭에 제동이 걸렸다. 5년 연속 적자 행진으로 고정비 축소 압박이 불가피한 가운데 지난 6월 해고 노동자 사망 사건으로 사측에 대한 근로자들이 불만이 높은 상황이다. 자칫 임단협으로 불통이 튈 경우 원만한 협상이 불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임금 협상과 더불어 52시간 근로제, 최저임금법 개정안 등으로 노사간의 신경전이 팽팽한 상황"이라며 "대내외 환경이 불리한 만큼 노사가 양보를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home 이승연 기자 story@wikitre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