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지사 “대한민국 살릴 길은 ‘통 크게 주고받는 5가지 빅딜’뿐이다”
2025-03-05 16:49
add remove print link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제대연정 구체화
‘내 삶을 바꾸는 5대 빅딜’ 제안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최근 어젠다로 제시한 ‘경제대연정’ 개념을 구체화해 ‘내 삶을 바꾸는 5대 빅딜’을 제안했다.


김동연 지사는 5일 김대중도서관에서 열린 ‘일곱번째 나라 Lab’(대표 박광온)과 ‘포럼 사의재’(공동대표 박능후) 주최로 열린 공동심포지엄에서 “이대로는 대한민국이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여야, 진보 보수, 그리고 노사가 ‘통 크게 주고받는 빅딜’이 해법”이라면서 현안에 대한 '종합비전’을 제시했다.
김동연 지사가 내놓은 ‘내 삶을 바꾸는 5대 빅딜’은 첫째, ‘불평등경제’를 극복하는 ‘기회경제 빅딜’이다. 김 지사는 먼저 “대기업은 미래전략산업 투자와 청년일자리, 노동자는 노동유연화와 정년연장, 정부는 규제혁신과 안전망을 제공하는 ‘3각(대기업, 노동자, 정부) 빅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재벌개혁은 필요하지만 대기업의 역할은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대기업과 관련해 김 지사는 “미래전략산업 투자가 벤처·스타트업 투자와 연계될 필요가 있다. 정부 모태펀드 방식으로는 자금이 부족하다”면서 “대기업 CVC의 외부 자본 조달 제한(현행 40%)을 대폭 완화해야 한다”고 했다.
노동자와 관련해선 “전 국민 고용보험과 함께, 비정규직 계약기간을 5년으로 연장하는 등 제한적인 노동시장 유연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호봉제 폐지와 연계된 단계적인 정년연장을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3각 빅딜의 마지막 주체인 정부는 “신속하고 강력한 규제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대통령 직속의 규제개혁위원회와 관련 전담기구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둘째 빅딜은 ‘서울공화국’을 해체할 ‘지역균형 빅딜’이다.
김 지사는 “공공기관 이전 등 공공부문의 대책과 여력은 거의 다 소진되었다”면서 “지역 자생력을 키우고 국가 균형발전을 이루는 확실한 동력은 대기업과 대학”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10개 대기업 도시 건설’과 ‘10개 서울대 만들기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김 지사는 “지역으로 이전하는 대기업에게는 개발권, 세제 혜택, 공공요금을 획기적으로 지원하고, 10개의 지역거점 대학은 특성화해서 서울대 수준으로 지금의 3배, 연 5000억 원의 투자를 대폭 확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셋째 빅딜은 기후가 미래먹거리가 되는 ‘기후경제 빅딜’이다.
김 지사는 “윤석열 정부가 역주행시킨 기후정책, ‘퀀텀 점프’가 필요하다. 기후산업에 최소 400조를 투자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했다. 400조 재원에 대해선 “국민기후펀드 100조, 공공출자 100조, 기후보증 100조, 그리고 BTL 방식의 전력망 민자유치 100조”로 내역을 밝혔다.
이어 김 지사는 “원전과 신재생에너지의 빅딜도 필요하다”면서 “정부가 최근 발표한 원전 2기 신규건설은 백지화하고, 설계수명이 도래한 원전 10기는 안전성 검증시 가동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넷째 빅딜은 ‘간병국가책임제’를 비롯한 ‘돌봄경제 빅딜’이다.
김 지사는 “‘간병 살인’, '간병 파산'은 이미 익숙한 말”이라면서 “고령화와 핵가족의 시대에 증가하는 간병 부담을 가족이 감당하는 것은 재앙이다. 예견된 재앙을 해결하지 못하면, 그것은 정치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런 뒤 “경기도는 지자체 최초로 연 최대 120만 원을 지원하는 ‘간병 SOS 프로젝트’를 도입했다. 더욱 확대하겠지만 한계도 분명하다”면서 중앙정부와 정치권에 촉구했다. “간병 부담에서 벗어나도록 보호자 없는 병원을 확대하고 간병비 급여화를 추진해야 한다. 내가 아플 때 ‘가족’이 아니라 ‘국가'가 책임 지게 하는 것이다. ‘정든 곳에서 나이들기’ 프로젝트를 범국가적으로 추진하자”고 말했다.
다섯째 빅딜은 ‘경제대연정’을 위한 ‘세금-재정 빅딜’이다.
김 지사는 “감세로 무너진 나라, 감세로 일으켜 세울 수는 없다. 지금 필요한 것은 감세가 아니라 적극적인 재정의 역할”이라면서 “총 200조 원을 집중 투자해 경제빅딜을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조 재원 마련을 위해선 “향후 5년간 국가채무비율이 5%p 올라가는 것을 감내하자는 호소를 드린다”고 했다. 김 지사는 “필요하다면 증세도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소득공제, 세액공제 등 여러 세목에 있는 비과세 감면조항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5대 빅딜의 제안 배경이 ‘모두의 나라, 내 삶의 선진국’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한 실천 전략으로 제안한 것이 ‘경제 대연정’ 및 ‘내 삶을 바꾸는 5대 빅딜’이라는 것이다.
김동연 지사는 발언 모두에 “우리 정치에 비전과 정책은 사라지고 정치공학만 보인다. 대한민국이 어디로 가는지 도대체 보이지가 않는다”면서 비전과 정책 경쟁이 실종된 현 상황을 개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