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4월 1일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
2025-03-26 14:49
add remove print link
전체 시내버스 127개 노선, 1566대 대상
거스름돈 환전에 따른 사고 위험과 운행 지연 예방 기대
현금수입금 관리비용 연간 8억 2천만 원 절감

[대구=위키트리]전병수 기자=대구 시내 모든 시내버스에 현금함을 철거하고 교통카드로만 요금을 지불하는 ‘현금 없는 시내버스’가 4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된다.
26일 대구시에 따르면 교통카드 이용 확대로 시내버스 현금 탑승 승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데 반해 인건비 등 현금수입금 관리 비용은 연간 8억 2천만원이 소요되고 있다.
대구시는 운행 중 현금 확인과 거스름돈 반환에 따른 운행 시간 지연 및 안전사고 우려 등의 문제점이 대두돼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7월부터 ‘현금 없는 시내버스’ 시범운행을 추진했다.
1차 5개 노선 98대, 2차 40개 노선 583대, 3차 77개 노선 1,034대 등 3차에 걸쳐 단계적으로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시범 운영한 결과 대구시 전체 시내버스 이용객의 현금 승차 비율이 2023년 2.2%에서 2025년 2월 말 기준 0.5%로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분한 사전 홍보와 현장 운수종사자의 친절 응대로 시범운영 중 특별한 민원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다음달 1일부터 대구시 전체 시내버스 127개 노선, 1566대를 대상으로 ‘현금 없는 시내버스’를 전면 시행해 비용 절감 및 운행시간 단축 등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아울러 시민들은 교통카드 사용으로 요금 할인과 무료 환승, K-패스카드 할인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현금 없는 시내버스’는 현물 선불·후불 교통카드 뿐만 아니라 모바일 교통카드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교통카드 미소지 승객은 정류장에 부착된 QR코드로 모바일 교통카드를 발급받거나 버스에 비치된 요금납부안내서를 배부 받아 추후 계좌이체하면 된다.
한편 대구시는 전국 최초로 도입한 ‘어르신 통합무임 교통카드’의 보급과 대상 연령층의 점진적인 확대로 고령층에서도 큰 불편 없이 ‘현금 없는 시내버스’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다.
허준석 대구시 교통국장은 “‘현금 없는 시내버스’ 전면 시행 이후에도 운영 현황과 불편 사항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해,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