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화력 폐지 위기…태안군, 11조 투입 1.4GW 해상풍력단지 '승부수'
2025-04-16 13:11
add remove print link
집적화단지 지정·O&M 부두 건설도 추진… '친환경 그린 에너지 도시' 전환 목표

충남 태안군이 태안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지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해 총 11조 원대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에 총력을 기울인다.
태안군은 16일 미래에너지과 정례브리핑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과 지역 위기 극복을 목표로 공공주도 해상풍력 단지 개발,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 해상풍력 운영·관리(O&M) 부두 조성 등을 핵심으로 하는 '친환경 그린 에너지 도시' 전환 계획을 밝혔다.
군은 우선 태안 앞바다에 총사업비 11조 6천억 원을 투입해 1.4GW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 3개를 조성할 계획이다. 2021년 '태안 풍력'을 시작으로 '가의 해상풍력(2023년)', '서해 해상풍력(2024년)'이 차례로 발전사업 허가를 취득했으며, 현재 환경부·국방부 등 관계 부처와 인허가 절차를 협의 중이다. 군은 2021년 산업부의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지원 사업'에 선정돼 국비 43억 5천만 원을 확보하는 등 사업 추진 기반을 다져왔다.
이와 함께 군은 해상풍력 발전단지 일대를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지정받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집적화단지로 지정되면 REC(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가중치 우대를 통해 확보한 재원으로 수산업 지원 및 주민복지 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다. 군은 이를 위해 지난해 '제2기 민·관협의회'를 구성했으며, 이달 중 제6차 회의를 열어 사업계획서를 확정하고 산업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현안별 설명회도 지속 개최한다.
또한, 해상풍력 발전단지의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한 핵심 시설인 'O&M 부두'를 오는 2029년까지 원북면 태안항에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군은 부두 건립의 선결 요건인 '제4차 항만 기본(수정) 계획' 반영을 위해 지난해 해수부에 요청했으며,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군은 주민 수용성 확보가 사업 성공의 관건이라고 보고,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읍면 이장단 및 어업인 등을 대상으로 총 15차례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소통에 힘써왔다. 앞으로도 민·관협의회를 내실 있게 운영하며 주민 의견과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할 계획이다.
조상호 미래에너지과장은 "당초 5개 단지를 계획했으나 풍황계측기 미설치 2개 단지는 올해 3월 공포된 특별법에 따라 향후 추진할 예정"이라며 "태안화력 폐지로 인한 지역의 최대 위기 상황을 '친환경 그린 에너지 도시'로의 전환을 통해 극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