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트램 건설로 지역경제 숨통…1조 1천억 규모 사업에 지역업체 54% 참여

2025-04-29 10:44

add remove print link

공구 분할·하도급 지역 우대…생산·취업 유발효과 기대
이장우 시장 “트램, 교통 인프라 넘어 지역경제 도약 견인”

대전시, 트램 건설로 지역경제 숨통<자료사진> / 뉴스1
대전시, 트램 건설로 지역경제 숨통<자료사진> / 뉴스1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대전시가 1조 1천여억 원 규모의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사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본격 나섰다.

시는 트램 공사를 토목(17건), 기계・소방(6건), 전기(15건), 신호(6건), 통신(12건) 등 총 56건으로 세분화해 발주했다. 공구 분할을 통해 다양한 지역업체 참여를 유도하고, 입찰 단계에서 지역업체 참여 비율을 최대 49% 이상으로 명시해 수주 기회를 확대했다.

하도급은 대전시 조례에 따라 70% 이상을 지역업체가 맡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80% 이상 지역업체 참여를 목표로 시공사와 협력해 관리 중이다. 건설사업관리(CM) 용역에서도 공구별로 지역업체가 30~70%를 담당하고 있으며, 폐기물 운반·처리 용역은 116건 중 114건을 지역업체가 수주했다.

현재까지 체결된 21건의 공사계약(2,300억 원) 가운데 지역업체가 주관사로 참여한 건은 18건에 달한다. 이 중 지역업체 수주 금액은 1,260억 원으로 전체 계약 금액의 54% 이상을 차지해, 지역경제 선순환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폐기물 용역 44건도 총 90억 원 규모로 모두 지역업체가 맡았다.

시는 지역 장비·자재 우선 사용, 지역 인력 및 교통 신호수 투입 등을 통해 지역 자원 활용도를 더욱 높이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한국엔지니어링협회 등과 정기 간담회를 열어 현장 의견도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트램 사업이 생산유발효과 2조 4,590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9,808억 원, 취업 유발효과 16,190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장기 불황으로 침체됐던 지역 건설 경기가 트램 사업을 계기로 회복될 것”이라며 “수주 확대가 체감경기 개선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트램 건설은 단순한 교통 인프라 구축을 넘어 지역경제 회복과 도약의 핵심 동력”이라며 “앞으로도 지역업체와의 상생을 통해 경제 선순환 구조를 굳건히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