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이 “한덕수에게 후보 양보할 것인가” 묻자 김문수가 한 말

2025-05-01 08:15

add remove print link

김문수 "양보하려면 명분 있어야"

국민의힘 김문수(왼쪽),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가 4월 30일 오후 서울 중구 TV조선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결승 토론회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 뉴스1(국회사진취재단)
국민의힘 김문수(왼쪽),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가 4월 30일 오후 서울 중구 TV조선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결승 토론회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 뉴스1(국회사진취재단)
국민의힘 최종 2인 경선에 오른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지난달 30일 TV 토론회에서 팽팽한 신경전을 펼쳤다. 1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당원투표와 일반 여론조사를 앞두고 개최된 마지막 토론회에서 두 후보는 직접적 충돌은 자제하면서도 상대 후보에 대한 견제를 이어가며 자신의 본선 경쟁력 부각에 주력했다.

서울 중구 TV조선 스튜디오에서 열린 TV토론에서 두 후보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여부와 각종 공약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한 후보는 한 권한대행과의 단일화 논의에 적극적 입장을 보이며 선명성을 부각해 온 김 후보에게 '후보 양보 가능성'을 거론하며 견제에 나섰고, 김 후보는 '명분이 있어야 한다'며 맞섰다.

한 후보는 토론에서 김 후보에게 "최종 후보가 되면 그때 한 권한대행에게 (최종) 후보 자리를 양보할 용의가 있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김 후보는 "당원과 국민이 애를 써서 뽑아준 후보가 (자리를) 양보한다면 명분이 있어야 한다"며 "어떤 명분으로 양보해야 한다는 건지, 질문 자체가 납득이 안 간다"고 응수했다.

다만 김 후보는 한 권한대행과의 단일화 협상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김 후보는 한 권한대행과의 단일화가 당 최종 후보가 선출된 전당대회 직후여야 하느냐는 질문에 'O' 팻말을 들었다.

김 후보는 "한 권한대행이 무소속 출마를 하면 늦지 않게, 국민이 볼 때 합당한 방법으로 반드시 단일화하겠다"며 "반(反)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전선에서 이기기 위해 누구와도 단일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한 후보는 'O'도, 'X'도 들지 않았다. 한 후보는 "(최종) 후보가 된 다음에 우리의 승리를 위해 누구와도, 어떤 방식으로도 협력하겠다"면서도 "그렇지만 지금은 말할 단계가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 국민의힘은 여기(경선)에 집중해야 한다"며 "그 후 이기기 위해서는 뭐든 할 거지만, 지금 언제, 누구와 단일화를 할 것이냐 자체가 큰 이슈가 된다는 건 당원에 대한 예의가 아니고 우리 승리에도 도움이 안 된다"라고 말했다.

두 후보는 서로의 '약한 고리'를 파고들었다. 김 후보는 "한 후보는 '조선제일검'이라고 말할 정도로 아주 명성이 높은 검사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을 구속하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구속했다"며 윤 전 대통령과 같은 '검사 출신'이라는 점을 부각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한 후보는 "기업에 대해서 과도한 수사가 잘못된 것이다, 그런 수사를 오래 하면 안 된다는 말씀에 공감한다"며 "선배님과 함께 손잡고 밀고 당기면서 잘 끌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이어 한 후보가 수도권 집중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으로 내놓은 '5대 메가폴리스' 구상에 대해 "(대통령) 임기를 3년만 하면서, 메가폴리스 정책을 2년 만에 실현해낸다는 게 가능한가"라고 따지기도 했다.

한 후보는 김 후보가 과거 경기지사 시절 북한의 도발에 맞서 백령도 등 서해 5도에 중국인 전용 카지노를 짓자고 제안하고 '한중 해저터널'도 추진하려고 했던 점을 지적했다.

김 후보는 "지금 중국과의 관계를 생각하면 한중 해저터널은 현재로서는 추진하지 않는 게 좋겠다"며 "(중국인 전용 카지노도) 당시는 한미·한중 관계가 좋을 때인데 지금은 많이 다르다"고 한발 물러났다.

한 후보는 김 후보의 '국민연금 가상자산 투자 허용' 공약에 대해 "가상자산의 변동성을 감안하면 국민연금이 직접 투자하는 건 위험하다"고 꼬집기도 했다.

두 후보는 보수층 표심을 고려한 듯, '빅텐트' 협상 조건 중 하나로 국민의힘 당명 변경을 요구하고 있는 옛 민주당 세력을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한 후보는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새미래민주당 고문) 측이 국민의힘에 '당명을 교체하라'고 요구했고, 지도부가 '대선 후에 당명 변경 약속은 가능하다'고 했다는 보도가 있다"며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도 "저도 참 황당하게 생각했다"며 "당명을 어떻게 고치라는 것은 다른 집의 아이를 보고 이름을 고치라고 하는 것과 똑같다. 해서는 안 될 말"이라고 동조했다.

한 후보는 "친문(친문재인)의 대표적인 분들이 우리 당에 갑질하듯이 '빅텐트를 원하면 당명을 바꾸라'고 하거나, 나아가 '빅텐트를 원하면 윤석열 전 대통령을 출당시키라'고 요구하는 것에 당원들의 자괴감과 자존심이 상할 것 같아 대단히 마음이 아팠다"라고도 말했다.

그러자 김 후보도 "문재인 정권 사람들에게 우리 당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며 "지금 말씀하신 부분은 해서는 안 될, 아주 상식에 벗어난 것"이라고 거들었다.

이날 토론회에서 두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탄핵을 두고선 공방하지 않았다. 당원들이 본선 경쟁력을 염두에 둔 전략적 선택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두 후보 모두 '반탄'(탄핵소추 반대) 대 '찬탄'(탄핵 찬성) 구도에서 벗어나 '지지층 넓히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두 후보는 토론회를 마친 뒤 최종 후보 선출과 단일화 과정에서의 자신감을 드러냈다. 김 후보는 기자들과 만나 한 권한대행에게 후보 자리를 넘겨줄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넘겨주기 위해서 이렇게 밤늦게까지 토론하겠나"라고 반문했다.

한 후보도 "저는 이길 자신이 있어서 나왔고 제가 이길 것"이라며 "지지자들에게 보여야 할 건 이길 것이란 확신"이라고 말했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