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암호화폐 시장 주요 사건들] 미국 노인 투자자 3억 3000만 달러 비트코인 도난 등

2025-05-01 10:05

add remove print link

리플사 서클 인수 입찰 제안 수포

리플(ripple)사의 서클 인수 실패, 미국 노년층 시민의 비트코인 도난 사건 등 지난 24시간 동안 암호화폐(가상자산·코인) 시장에서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했다.

코인텔레그래프 등이 1일(한국 시각) 해당 내용을 보도했다.

가상화폐 전문가들이 시장을 분석하는 모습을 담은 AI 이미지 / Shutterstock AI;
가상화폐 전문가들이 시장을 분석하는 모습을 담은 AI 이미지 / Shutterstock AI;

리플사 서클 인수 입찰 제안 수포

리플사는 최근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circle) 인수를 위해 최대 50억 달러까지 제안했지만, 이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30일(이하 미국 시각)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리플은 40억~50억 달러 수준의 인수 제안을 했지만, 서클 측은 금액이 적다고 판단해 이를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인수 시도는 서클이 미국 내 기업공개(IPO)를 신청한 지 채 한 달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뤄졌다.

리플은 지난해 11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기록했지만,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CEO는 올해 1월 이를 "구식 평가"라고 지적한 바 있다. 리플은 지난 4월 프라임 브로커 히든 로드(Hidden Road)를 약 12억 달러에 인수했고, 이는 XRP 및 XRP 레저 생태계의 확장을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3억 3000만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 소셜 엔지니어링 해킹 피해자

미국에서는 고령의 개인 투자자가 3000개가 넘는 비트코인(BTC)을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주고 있다. 이 피해자는 지난달 28일 약 3억 3000만 달러에 달하는 규모의 3520 BTC를 도난당했다.

온체인 데이터 분석가 잭XBT(ZachXBT)는 이 사건을 소셜 엔지니어링을 통한 해킹으로 분석했다. 공격자는 피해자의 지갑에 접근한 후, 즉시 자산을 6개 이상의 인스턴트 거래소를 거쳐 프라이버시 중심 코인 모네로(monero)로 전환했다.

이 피해자는 2017년부터 3000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해 온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전에는 대규모 이체 이력이 전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해커는 '필 체인(peel chain)'이라 불리는 방식으로 자금을 세분화해 추적을 어렵게 만들었다. 해커는 두 번의 거래로 비트코인을 받은 뒤, 이를 다수의 믹서 및 거래소를 통해 수십 개의 지갑으로 분산시켰다. 해켄(Hacken)의 연구원 예호르 루디차(Yehor Rudytsia)는 "가장 큰 자금 흐름 체인은 현재 40개 이상의 지갑으로 구성돼 있다"고 밝혔다.

SEC, 리플과 도지코인 ETF에 대한 결정 발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리플(XRP) 및 도지코인(DOGE) 기반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승인 여부 결정을 6월로 연기했다. 이는 뉴욕증권거래소 아르카(NYSE Arca)와 시카고옵션거래소 BZX(Cboe BZX)가 각각 비트와이즈(Bitwise)의 도지코인 ETF와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의 XRP ETF 상장을 요청한 데 따른 조치다. 나스닥(Nasdaq)도 같은 날 21셰어즈(21Shares)의 도지코인 ETF 상장을 신청했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의 토네이도 캐시 제재 불가 판결

미국 연방법원이 토네이도 캐시(tornado cash)에 대한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제재가 다시는 시행될 수 없다고 판결했다. 지난달 28일 텍사스 오스틴 연방지방법원 로버트 피트먼(Robert Pitman) 판사는 "OFAC의 제재는 위법이며, 향후 추가 제재 집행은 금지된다"고 판시했다.

OFAC는 2022년 8월 북한의 해킹 그룹 라자루스(Lazarus Group)가 토네이도 캐시를 이용해 암호화폐를 세탁한 혐의로 해당 서비스를 제재 대상 명단(SDN)에 등록한 바 있다. 이후 사용자인 조셉 반 룬(Joseph Van Loon) 등이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고, 지난해 3월 21일 OFAC는 제재를 철회했다. 이후 정부는 소송이 무의미해졌다고 주장하며 최종 판결이 필요 없다고 했으나, 법원은 제재 무효를 재확인했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