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300억 원... 단일화 무산 땐 한덕수가 포기할 수밖에 없는 이유

2025-05-09 09:47

add remove print link

권영세 “선거운동원 복장 마련도 어렵다”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후보 단일화 관련 회동을 마친 후 생각에 잠겨 있다. /뉴스1(공동취재)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후보 단일화 관련 회동을 마친 후 생각에 잠겨 있다. /뉴스1(공동취재)

한덕수 무소속 대선 예비후보가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오는 11일까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가 안 되면 후보 등록을 포기하겠다고 밝힌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자금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 후보는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1일까지 단일화가 안 되면 대선 본후보 등록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가 이렇게 말한 이유는 11까지 단일화를 이루지 못하면 무소속으로 출마해야 해 선거비용을 자신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치권에 따르면 대선을 치르려면 최소 300억원이 필요하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1대 대선에서 법적 선거비용 한도는 588억5281만원이다. 20대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431억원, 국민의힘은 394억원을 보전받았다.

한 후보가 국민의힘 소속으로 출마하면 당에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지만, 무소속으 출마하면 자신이 자금을 마련해야 한다. 예비후보 후원회를 통해 최대 29억4000만원까지 모금할 수 있으나 나머지 비용은 자비로 충당해야 한다.

대선에서 유효투표 15% 이상을 얻으면 기탁금 3억원을 포함한 선거비용 전액을 보전받는다. 10% 이상 15% 미만이면 절반을 보전받는다.

한 후보가 당장 수백억원을 마련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 2017년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대선 포기를 선언한 배경에도 자금 문제가 있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8일 국회에서 "선거에 500억원이 넘는 돈을 쓸 수 있지만, 무소속 후보가 이를 준비하기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12일 이후 단일화는 금전적 제약으로 한 후보가 유세차, 벽보, 공보물, 선거운동원 복장 등 기본적인 선거 활동도 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2일 이후 단일화에 나서면 여러 금전적 제약 때문에 한 후보가 목에 패널을 걸고 지하철역 인사를 하는 것 외에는 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유세차를 200개 돌려야 하는 데 비용이 엄청나게 들 것이다. 벽보, 공보물 만들 비용도 쉽지 않을 것이다. 선거운동원 복장 마련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주진우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장은 페이스북에서 "만에 하나라도 김 후보가 (11일 이후) 단일화 여론조사에서 (한 후보에게) 지게 되면 수백억원을 허공에 날린다"라며 "김 후보는 배수진일지 몰라도 당의 정치적 미래와 당원들 당비를 걸고 모험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