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 판 바뀐다…엔지니어링 업계와 머리 맞댄 현장 소통
2025-05-09 17:08
add remove print link
2040 대전권 광역도시계획 등 7대 핵심 과업 공유
규제 완화 중심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 개정, 민간 의견 적극 반영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대전시가 도시계획의 새로운 방향성을 마련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현장과 행정이 소통하며 규제 완화와 제도개선을 골자로 한 미래 도시 구상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대전시는 9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관내 도시계획 분야 엔지니어링 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고, ‘2040 대전권 광역도시계획 수립’을 비롯한 7건의 핵심 용역 과업 현황을 공유했다. 간담회에는 도시주택국장을 포함한 시 관계자와 12개 업체 대표들이 참석해 심도 있는 의견을 주고받았다.
이날 공유된 계획들은 대전의 미래 공간구조 개편과 도시 기능 재정립을 위한 중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특히 최근 일부 개정된 「대전광역시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은 큰 주목을 받았다. 개정안에는 ▲용적률 체계 유연화 ▲인센티브 항목 확대(9종→12종) ▲공공기여 기준 명문화 ▲드림타운 반경 확대 등 실질적 규제 완화 방안이 포함됐다.
시는 이 같은 제도 개선이 민간 주도의 도시계획 수립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새로운 지침의 적극적 활용을 당부했다. 개정된 지침은 경제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유연한 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해, 기존의 경직된 행정방식에서 탈피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간담회에 참석한 민간 엔지니어링 대표들은 비효율적인 행정절차, 현실과 동떨어진 지침,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는 관행적 방식에 대한 개선 필요성을 지적했다. 시는 이들의 건의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제도개선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에 대한 정책 건의에도 반영할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도시계획은 단순한 행정이 아닌 도시의 미래를 설계하는 작업”이라며 “수직적 행정이 아닌 민간과의 수평적 협력을 통해 전문성과 창의성을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개정된 지침이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간담회는 민관 협치를 통해 행정의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한 첫 걸음으로, 향후 도시계획 실무의 유연성과 실행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