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 1건당 최소 5만 원”…무심코 지나쳤던 '이것' 신고하면 포상금 받는다

2025-05-18 07:10

add remove print link

온라인 국민신문고 사이트 통해서도 신고 가능
해양오염 신고하면 최대 300만원 포상금 지급

대한민국 해양오염 피해를 막기 위해 '해양오염 신고포상금 제도'가 올해에도 운영된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해양오염 신고포상금 제도'는 해양 오염을 발견해 신고하면 포상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다. / 연합뉴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해양오염 신고포상금 제도'는 해양 오염을 발견해 신고하면 포상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다. / 연합뉴스

해양경찰청은 이달 들어 전국적으로 바다 환경 보호를 위한 '해양오염 신고포상금 제도'를 적극 홍보하고 있다. 선박이나 해양시설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현장을 목격하거나 바다에 유출된 오염물질을 발견해 신고하면 최대 300만 원까지 포상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다.

해양경찰청은 해양오염 발생 시 신속한 대처를 위해 이 제도를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 제도는 기름, 폐기물, 유해물질 등 오염물질을 바다에 불법 투기하는 행위를 신고하거나 이미 배출된 오염물질을 발견해 알리면 사실관계 확인 후 포상금을 지급한다.

'해양오염 신고포상금 제도' 홍보 포스터 / 해양경찰청
'해양오염 신고포상금 제도' 홍보 포스터 / 해양경찰청

포상금액은 신고된 오염물질의 종류와 배출량에 따라 최소 5만 원에서 최대 300만 원까지 다양하다. 신고는 119로 전화하거나 가까운 해양경찰서(파출소)에 방문해 직접 할 수 있으며, 온라인 국민신문고 사이트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특히 신고 횟수에는 제한이 없어 여러 번 신고할 수 있다.

119종합상황실에서 한 직원이 신고 전화를 접수하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
119종합상황실에서 한 직원이 신고 전화를 접수하고 있는 모습 / 연합뉴스

신고 이후에는 해양경찰 공무원이 현장조사와 사실관계 확인을 거쳐 신고포상금 심의 과정을 통해 포상금 지급 대상자를 선정한다.

그러나 이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고가 활발하지 않아 실제 포상금 지급 사례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여수해경 관내에서는 2022년 8건(153만 원), 2023년 15건(110만 원), 지난해에는 3건(20만 원)에 그쳤다.

전국적으로는 최근 5년간(2020~2024년) 236건에 총 3132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됐다. 제주지역의 경우 같은 기간 14건에 89만 원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항구 일대를 순찰 중인 해경 / 연합뉴스
항구 일대를 순찰 중인 해경 / 연합뉴스

이에 해양경찰은 제도 활성화를 위해 해양오염 신고 방법과 포상금 지급 절차를 담은 포스터를 전국 해경 파출소와 연안여객터미널에 부착하는 등 홍보에 나섰다.

해양경찰청 측은 "해양오염은 신속한 신고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바다에서 기름 등의 오염물질을 발견하면 그냥 지나치거나 주저하지 말고 오염 상황을 신고해달라"며 국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했다.

home 윤희정 기자 hjyu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