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보도] 고창군,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기념주간 다채로운 프로그램 운영
2025-05-15 10:48
add remove print link
1894년의 함성이 다시 한번 고창에서 울려 퍼지다!
전북 고창군이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기념주간(4월25~5월14일)을 운영하며 동학정신을 함께 되새기고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제131주년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기념제 성료
첫 시작은 4월25일 제131주년 동학농민혁명 무장기포 기념제였다. 공음 무장기포지에서 개최된 이 행사는 1894년 동학농민군이 무장포고문을 낭독하며 봉기한 무장기포의 역사를 되새기고, 자주와 평등을 향한 항쟁의 정신을 기리기 위한 자리였다. 올해는 특히 아산중학교와 강호항공고등학교 학생들이 1894년의 농민군이 되어 진격로 걷기에 동참하고, 전북인공지능고등학교 학생들이 무장읍성에서 ‘새야 새야’ 플래시몹 공연으로 신명나는 입성재연을 이끌어 내는 등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어느 때보다 활력 넘치는 행사가 되었다.
#‘타임슬립 고창 in 1894! 동학진격로 걷기 챌린지 성황’
기념제 다음날부터는 무장기포기념제가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동학진격로 걷기 챌린지’를 운영하였다. ‘워크온’ 앱을 통해 지역주민뿐 아니라 인근 주민까지 600여 명의 신청자가 사전 신청한 ‘동학진격로 걷기 챌린지’는 4월 26일부터 5월 11일까지, 토·일·공휴일 동안 운영되었다. 참가자 중에는 담임선생님과 반 친구들, 여고 친구들, 자녀와 함께 걷는 가족 단위 참가자 등 다양한 세대가 참여하는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와 정신을 몸소 느낄 수 있는 역사체험의 장이 되기도 하였다.

#동학농민혁명 기념 총체극 ‘전봉준-무명의 녹두 전사들’ 감동의 무대
5월9일에는 고창문화의 전당에서 극단 토박이의 창작 총체극 <전봉준, 무명의 녹두전사들>이 성황리에 공연됐다. 이 작품은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와 당시 혁명을 이끌었던 수많은 이름 없는 농민군의 참뜻을 기억하고, 진정한 의가 무엇인지 알리는데 초점을 맞춘 창작극이다. 이는 특히, 관내 학교들의 사전 예약으로 고창문화의전당 600석이 모두 채워질 정도로 관심을 모은 가운데 극적인 전개와 현장감 있는 무대 연출로 관객들의 큰 호응과 감동을 선사한 무대가 되었다.
#역사연구소장 황현필의 ‘고창군에 깃든 동학농민혁명’ 강연 개최
5월12일 오후 2시 고창문화의전당에서는 고창 동학을 주제로 한 역사연구소장 황현필의 동학농민혁명 명사특강이 열렸다. 황현필 소장은 인기 역사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대중에게 친근한 역사교육강사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특강에서는 ‘고창군에 깃든 동학농민혁명’이라는 주제로 동학농민혁명과 오늘의 민주주의 형성이 어떤 연관을 가지는지 쉽고 흥미롭게 풀어냈다.

# 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관 개관
기념주간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관 개관식은 5월14일 오후 5시 전봉준장군 동상공원에서 개최된다. 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관은 기존 공음면에 있던 동학농민혁명 홍보관의 접근성을 개선하고, 다양한 교육 및 체험 콘텐츠를 마련하여 기존 홍보관의 역할을 확대 운영하기 위해 새롭게 조성되었다. 또한 기념관 옥상에는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선쉐이드 시설과 벤치 기능을 갖춘 화단을 조성하여 지역주민과 방문객 누구나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개방형 휴식공간으로 꾸며졌다.
또한 이번 개관식에서는 ‘청소년 문학상’ 시상식도 같이 진행될 예정이다. ‘청소년 문학상’은 지난 3월 관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詩’ 분야를 공모하여 4월 수상작을 선정하였다. 청소년 문학상 대상인 무장기포상은 영선중학교 3학년 천의현 학생의 ‘녹두의 봄은 다시 찾아온다’가 수상했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동학농민혁명의 출발점이자 민주주의의 뿌리가 된 무장기포의 역사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의미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더불어 새롭게 선보이는 고창동학농민혁명기념관도 군민과 방문객들이 자유롭게 휴식하며, 배우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