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맞춤형 서비스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외국인 철도 이용객이 전년 대비 61% 증가한 약 554만 명을 기록하는 등 늘어나는 수요에 발맞춰 승차권 구매 편의를 개선하고 철도 이용 안내를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인 성과로 지난해 6월 출시한 외국인 전용 교통·통신 패스 ‘나마네 카드’는 출시 10개월 만에 9,365명이 이용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나마네 카드’는 전국 지하철과 버스, 이동통신망을 정해진 기간 동안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상품이다.
외국인 승차권 구매 편의 대폭 개선
코레일은 외국인들이 보다 쉽게 기차표를 구매할 수 있도록 지난 2월 다국어 홈페이지(영·중·일 지원)를 전면 개편했다. 사용자 환경·경험(UI/UX)을 고려한 디자인과 함께 원하는 좌석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 ‘코레일패스’ 이용자가 창구 방문 없이 좌석 지정이 가능해졌다. 또한, 4월부터는 승차권 구매 시 이메일과 비밀번호만 입력하도록 절차를 간소화했다.
외국인이 선호하는 간편결제 시스템 도입도 활발하다. 지난달부터 역 창구에서 애플페이 결제를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올해 하반기에는 역 자동발매기에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미 2023년부터 중화권 관광객을 위해 위챗페이와 알리페이를 통한 승차권 판매를 시작했으며, 지난해에는 이를 통해 30만 명이 승차권을 구매,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맞춤형 안내 강화로 이용 만족도 UP
외국인들의 원활한 역사 및 열차 이용을 위한 다국어 소통 및 안내 서비스도 강화하고 있다. 이달부터 전국 216개 역에서 열차 도착 10분 전, 지연, 자연재해 등 이례사항 발생 시 영·중·일 3개 국어로 안내방송을 시행한다.
모바일 앱 ‘코레일톡’에서는 외국인 대상 채팅 상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국 주요 역에는 온라인 예매 사이트로 바로 연결되는 QR코드 배너를 추가 배치해 창구 대기 불편을 줄였다.
아울러 지난해 7월부터 서울역에는 ‘외국인 우선 창구’를 운영, 음성인식 AI 기반 통번역 프로그램(15개국 언어 지원)과 해외카드 결제가 가능한 자동발매기, 영상 발권장치 등을 통해 외국인들의 편의를 돕고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철도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