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차 시간 연장… 코레일, '버스 파업'에 비상 대책 내놨다

2025-05-27 20:16

add remove print link

코레일, 전동열차 32회 추가 운행… 막차 새벽 2시까지 늘려

서울 시내버스 노조의 총파업 예고에 따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비상 수송 대책을 마련했다. 코레일은 27일 오는 28일 예정된 시내버스 파업에 대비해 수도권 전동열차를 임시로 32회 추가 운행한다고 밝혔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지하철역 자료 사진 / 뉴스1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지하철역 자료 사진 / 뉴스1

임시 전동열차는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일산선, 수인분당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경강선, 동해선 등 총 9개 노선에서 운행된다. 추가 편성은 출근 시간대 14회, 퇴근 시간대 10회, 심야 시간대 8회로 구성된다. 특히 시민들의 이동 편의를 고려해 출퇴근 혼잡 시간대를 1시간 연장하고 막차 운행을 다음날 오전 2시까지 늘리기로 했다.

혼잡도 완화를 위해 주요 44개 역에는 총 1412명의 안내 인력을 배치해 고객 안내를 강화할 방침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시내버스 파업 종료 시점까지 임시 열차 운행을 지속할 예정”이라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철도 수송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전날까지 총 9차례의 본교섭과 지난달 29일 2차 조정회의 이후 실무 협의를 이어왔지만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27일 협상 시한이 남은 상황에서도 노사 간 교섭 일정조차 합의하지 못하며 이견을 드러냈다. 노조 측은 이날 오후 1시 교섭 재개를 제안하는 공문을 발송했으나 사측은 비공개 교섭을 언론에 알리는 방식으로 입장을 달리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공식적인 회신이 없어 일정이 확정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핵심 쟁점은 통상임금이다. 사측은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할 경우 전체 임금이 25% 인상되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며 임금체계 개편을 통해 비용 부담을 조정하자고 요구했다. 서울시 역시 준공영제 하에 인건비 부담이 재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같은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반면 노조는 통상임금 문제는 법적 판단 대상이며 교섭 대상이 아니라고 맞서고 있다. 이에 따라 노조는 우선적으로 임금 인상률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서울 시내 389개 노선에서 운행 중인 약 7000여 대의 버스가 28일 첫차부터 전면 멈춰설 예정이다.

이번 파업에는 64개 업체 중 61개사가 단체교섭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업 참여율이 높아질 경우 시민들의 출퇴근과 이동에 큰 혼란이 우려된다.

home 용현지 기자 gus88550@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