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어쩌나…'네탓 공방' 끝에 부산 시내버스 6년 만에 전면 운행 중단
2025-05-28 07:42
add remove print link
양측 조정 결렬을 앞두고 서로 '네 탓' 공방을 벌여
부산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협상 타결 실패로 결국 시민들이 불편을 겪게 됐다.

28일 부산 시내버스 노사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 20분 첫차를 시작으로 147개 노선의 2500여 대 시내버스가 전면 운행을 중단에 들어갔다.
기사들이 파업에 들어간 33개 시내버스 회사와 관련이 있는 8개 마을버스 회사 소속 69대도 이날 운행을 중단했다. 해당 마을버스들은 부산진구와 북구, 사하구에서 노선을 운영한다.
부산 시내버스가 멈춘 건 2019년 이후 6년 만이다. 2019년엔 첫차 등 일부 운행에 차질을 빚었으나 출근길 시간대 직전 협상을 마무리하며 가까스로 혼란을 피한 바 있다.
노사는 지난 27일 오후 4시부터 부산노동위원회에서 10시간이 넘는 마라톤 조정 회의를 열었으나 28일 오전 2시 20분 최종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노사는 지난해 대법원판결이 난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과 '임금인상'을 핵심 쟁점으로 두고 협상을 진행했다. 노조는 임금 8.2% 인상을 주장했으나 사측은 연 472억 원의 추가 인건비 부담이 발생한다며 팽팽하게 맞서 왔다.
이에 사측은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하면 임금을 9% 인상하는 효과가 생겨 부담이 가중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준공영제로 시내버스를 운영하며 버스 업체에 재정을 지원하는 부산시도 사측과 같은 입장이다.
양측은 조정 결렬을 앞두고 서로 '네 탓' 공방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사측이 주장한 임금체계 개편에 동의하면서 노동위원회가 중재안을 냈지만 부산시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파업 책임을 부산시로 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위원회도 앞서 조정 결렬을 선언하며 이례적으로 부산시에 유감을 표하기도 했다.

부산시는 노조가 다른 시도와 달리 파업을 강행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협상의 당사는 결국 '노사'로, 부산시가 준공영제를 하며 사측과 긴밀하게 협조하는 것은 맞지만 책임을 돌리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라며 "양측이 입장을 전혀 좁히지 못한 것이고 다른 시도에서도 같은 상황이었는데 부산 노조만 유독 파업을 단행했다"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시에 책임이 있는 만큼 서울처럼 파업 유보는 검토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다만 노사는 조정결렬에도 버스조합으로 자리를 옮겨 협상은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이날 교통 대책을 시행하는 데 나섰다. 46개 임시노선에 200여 대 전세버스를 투입해 오전 6시~오후 9시 운행하며 도시철도와 경전철도 출퇴근 시간을 1시간씩 연장하고 평일 기준 50회를 증편 운행할 방침이다.
또 택시는 파업 기간 운휴 차량을 최대한 줄여 승객 운송을 늘리고 버스 정류장을 택시 승강장으로 개방할 예정이다. 승용차 요일제와 가로변 버스전용 차로 또한 한시적으로 해제해 승용차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개인택시 조합과 법인 택시 조합에 요청해 운휴차량이 없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라며 "시민들은 불편하시더라도 대체 교통편을 잘 확인하신 뒤 출근길에 나서 달라"라고 부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