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 이름 '이것'으로 확 바뀌나?…크게 주목받고 있는 이재명 '발언'
2025-05-28 16:03
add remove print link
이재명 “모두가 동등한 권리와 기회 누리는 사회 만들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여성가족부 기능을 전면적으로 확대, 개편하겠다고 밝혀 크게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여성가족부'를 '성평등가족부'로 바꾸고, 부처의 역할도 대폭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후보는 28일 페이스북 등을 통해 "여성가족부를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단순한 이름 변경을 넘어, 부처의 기능과 위상을 성평등 정책의 컨트롤타워로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그는 "모두가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누리는 사회를 만들겠다"며 기존 정부의 성평등 정책 후퇴를 비판하고 나섰다.
이 후보는 윤석열 정부가 성평등 정책을 후순위로 밀어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CEDAW)가 한국 정부에 여성가족부 장관 임명과 폐지 추진 중단을 권고했다는 점도 언급하며 "더 이상의 퇴행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여성들이 여전히 구조적 차별을 겪고 있다"며 부처 폐지가 아닌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못박았다.
그가 구상한 '성평등가족부'는 단순히 여성만을 위한 부처가 아니라, '모두의 평등'을 위한 정책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 후보는 "성평등은 통합과 포용, 지속가능한 사회를 실현하는 핵심가치"라며 "부분적인 역차별이 있다면 그것도 함께 살펴 대처하겠다"고 덧붙였다.

내각 구성에서도 성별·연령의 균형을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여성이나 청년층, 고령층 등 다양한 계층이 공직에 진출할 수 있도록 인사 구조를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성평등 거버넌스 체계를 공고히 하겠다는 계획도 함께 제시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모두에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제도를 확대하고, 지자체 내 전담부서를 늘려 성평등 정책의 실행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정치적 함의도 적지 않다. 여성가족부를 둘러싼 논란은 보수·진보 진영의 상징적 대립 지점으로 작동해 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웠고, 정부 출범 이후에도 관련 부처 통폐합 논의가 이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이 후보는 해당 부처를 아예 '확대'하겠다고 선언해 이목을 끌고 있다.
이 후보는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이라는 문구로 글을 마무리하며, 이 메시지가 단순한 선언을 넘는 실천적 정책임을 강조했다. 그가 제안한 성평등가족부 개편안이 향후 정치권에서 어떤 반응을 낳을지, 또한 다음 총선과 대선 과정에서 실제 정책 의제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다음은 이 후보 SNS 전문이다.
“여성가족부를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하겠습니다. 모두가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누리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여성들이 여전히 우리사회 많은 영역에서 구조적 차별을 겪고 있음에도, 윤석열 정권은 성평등 정책을 후순위로 미뤘습니다.
지난해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CEDAW)는 한국 정부에 여성가족부 장관을 즉시 임명하고, 폐지 추진을 중단하라고 권고했습니다.
더 이상 퇴행은 안 됩니다. 모두가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누리고, 차별 없는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
여성가족부의 기능을 확대·강화해 ‘성평등가족부’로 개편하겠습니다.
성평등은 통합과 포용, 지속가능한 사회를 실현하는 핵심가치입니다. 성평등가족부는 불공정을 바로잡고 모두의 동등한 권리와 기회를 진작하는 컨트롤타워가 되겠습니다. 부분적인 역차별이 있는지도 잘 살펴 대처하겠습니다.
향후 내각 구성 시 성별과 연령별 균형을 고려해 인재를 고르게 기용하겠습니다.
성평등 거버넌스 추진체계도 강화하겠습니다.
중앙부처와 지자체의 양성평등정책담당관제도를 확대해 성평등 정책 조정과 협력기능을 강화하겠습니다. 지자체 내 전담부서를 늘려 성평등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겠습니다.
다양한 목소리를 포용하고, 공동의 해법을 모색하는 통합의 정치를 실현하겠습니다.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지금은 이재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