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광역연합의회, 민생·균형발전·사회약자 배려 등 현안 이슈 집중 조명

2025-07-02 17:23

add remove print link

농산물 직거래부터 해수부 이전 철회까지…현안 대응 ‘정책성 짙은 5분발언’ 쏟아져
“균형발전 원칙 흔드는 정부, 행정수도 위상 위협 말아야” 지적도
직거래·무장애·디지털화 등 지역 맞춤형 해법 제안

충청광역연합의회, 제5회 임시회 개회 / 충청광역연합의회
충청광역연합의회, 제5회 임시회 개회 / 충청광역연합의회

[충청=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충청광역연합의회가 7월 2일 제5회 임시회를 열고, 충청권 시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을 쏟아냈다. 이번 임시회에서는 지역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 관광지 무장애화, 해양수산부 이전 철회, 디지털 전환 시대 지역 대응 등 굵직한 이슈가 테이블 위에 올랐다.

안경자 의원(대전, 국민의힘)은 고물가 시대에 충청권 가계 부담을 줄이고 농가 소득을 높이기 위한 실효적 방안으로 농산물 직거래 매장 활성화를 촉구했다. 그는 유통비용률이 일반 유통의 절반에 불과한 로컬푸드 직매장의 장점을 강조하며, 충청권 통합 플랫폼 구축과 농산물 공동 브랜드 개발,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을 제안했다.

한편 안치영 의원(세종, 더불어민주당)은 지역 관광산업의 접근성과 포용성을 확대하기 위해 무장애시설(Barrier-Free)의 확대 설치를 요구했다. 특히 관광 약자 배려 없이 진행되는 사업은 사회적 가치 실현이라는 정책 방향과 맞지 않다고 지적하며, 충청권 관광지 전반에 대한 전수조사와 표준 설계 도입 등을 주문했다.

김응규 의원(충남 아산시, 국민의힘)은 정부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결정에 대해 “국가균형발전 원칙에 정면으로 반하는 조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해수부의 컨트롤 타워 기능이 서울·세종의 중앙부처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들어, 물리적 거리 증가가 행정 비효율과 국정 혼선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재정 낭비, 행정수도 위상 약화 우려도 함께 제기했다. 김 의원은 "행정수도 세종이 정권에 따라 흔들리는 일은 더 이상 반복돼선 안 된다"며 철회를 촉구했다.

또한, 김 의원의 발언은 온라인 기반의 원격 협업 체계가 보편화된 시대에도 정부 부처의 지리적 이전에 따른 문제 제기를 지속하는 데 대해 지역이기주의(local egoism)라는 비판도 상존함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 의원은 “세종시는 충청권 주민이 수년간 노력해 만든 지방분권의 상징”이라며 정치적 일관성과 국가적 신뢰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임시회에서 다뤄진 현안들은 충청권이 직면한 민생과 균형발전, 사회적 포용 등의 과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현실적 해법을 제시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충청광역연합의회는 향후 각 발언 내용을 바탕으로 정책 입안을 위한 실무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