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필요할 땐 없더라" 냉장고에 미리 쟁여두면 살림이 편해지는 재료 7가지

2025-07-05 14:26

add remove print link

요리의 시간을 절약하는 비법
집밥의 품격을 높이는 식재료 관리법

평소에 미리 준비해두면, 요리를 할 때 편해지는 재료들을 소개한다.

매일 장을 볼 수는 없고, 그때그때 손질하기는 귀찮고 배는 고픈 날들의 연속, 바쁜 일상 속 요리는 최대한 간단하고 빠르게 끝내고 싶은 게 솔직한 마음이다.

이런 현실을 도와주는 방법이 있다. 바로 ‘미리 준비된 식재료’를 냉장고에 쟁여두는 거다. 그중에서도 다진마늘과 대파처럼 다양한 요리에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기본 재료들은 한 번 손질해두면 일주일은 걱정 없다.

냉장고 속에 미리 챙겨두면 요리의 속도가 달라지는 대표적인 7가지 식재료들이 있다.

1. 다진마늘 – 요리의 시작이자 끝

한국 음식에서 마늘이 빠지면 맛이 밋밋해진다. 국, 찌개, 볶음, 나물무침까지 거의 모든 요리에 쓰이니 넉넉하게 준비해 두는 게 좋다.

껍질을 벗기고 믹서로 곱게 간 뒤, 유리병에 담아 냉장 보관하거나 소분해 냉동 보관하면 오래 쓸 수 있다. 식초나 소금을 살짝 섞으면 색이 덜 변하고 신선함도 오래 유지된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Kalashnikov Dmitrii-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Kalashnikov Dmitrii-shutterstock.com
2. 쪽파 또는 대파 – 고명부터 육수까지 만능 활용

쫑쫑 썬 대파는 그 자체로 고명 역할도 하고, 기름에 볶아 파기름을 내면 향이 확 살아난다. 국물 요리에는 송송 썬 대파, 무침이나 볶음에는 쪽파가 제격이다.

손질한 파는 키친타월로 물기를 닦고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거나, 소분해서 냉동실에 두면 두고두고 꺼내 쓰기 좋다.

3. 양파채 – 급할 땐 볶음밥, 여유 땐 장아찌

양파는 생으로 먹어도 좋고 볶아도 깊은 단맛을 낸다. 미리 채 썰어 두면 볶음밥, 고기 요리,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하기 편하다.

물기를 최대한 제거한 후 밀폐용기에 담거나 지퍼백에 넣어 냉장 보관하고, 오래 두고 쓸 경우엔 소분해 냉동하는 것도 방법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Elif Bayraktar-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Elif Bayraktar-shutterstock.com
4. 삶은 시금치 – 나물부터 국까지 다양하게

시금치는 데쳐서 꼭 짜 놓으면 무침, 된장국, 도시락 반찬 등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30초 정도 살짝 데친 뒤, 찬물에 헹궈 물기를 짠 후 한 번 먹을 분량씩 나눠 냉장 혹은 냉동 보관한다.

5. 무채 – 국물 요리의 시원함을 책임진다

무는 썰어두면 금세 마르지만, 채 썰어 소금에 살짝 절이면 오래 쓸 수 있다.

국 끓일 때, 김치 대신 아삭한 무생채가 필요할 때, 혹은 오이와 섞어 초무침을 만들 때도 유용하다. 절인 무채는 꼭 짠 뒤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면 3~4일은 무리 없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6. 버섯(표고, 새송이) – 식감과 향을 동시에 더한다

버섯은 요리에 풍미를 더해주는 감초 같은 재료다. 생버섯을 썰어두면 금세 물러지므로, 볶거나 데친 뒤 보관하는 것이 좋다.

표고버섯은 편으로 썰어 볶아두면 볶음밥이나 반찬에 바로 쓰기 좋고, 새송이버섯은 큼직하게 썰어 구워 먹거나 탕에 넣어도 어울린다.

7. 생강즙 또는 다진 생강 – 은은한 감칠맛과 향을 더하는 비밀 병기

생강은 자주 쓰이진 않지만, 한 번 들어가면 음식의 맛이 확 달라진다. 고기 잡내를 잡거나 김치 양념, 무침에 쓰기 좋다.

생강을 강판에 갈아 생강즙을 낸 뒤 얼음 틀에 소분해 냉동하거나, 다진 생강 형태로 보관하면 쓸 때마다 간편하다.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