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일 더위에 시달린 여름에도 '뜨거운 물' 샤워 포기할 수 없는 이유

2025-07-06 12:26

add remove print link

여름철 샤워, 당신이 몰랐던 건강 비결

무더운 여름, 샤워할 때 찬물이 정말 좋을까?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는 여름철, 하루에도 몇 번씩 샤워를 하게 된다. 특히 외출 후 돌아온 저녁, 온몸에 땀이 밴 상태에서 시원한 물줄기를 맞는 그 순간만큼은 더위도 잠시 잊게 만든다. 하지만 정말 여름에는 찬물로 샤워하는 것이 몸에 가장 좋을까? 샤워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신체 반응과 주의할 점을 정리해본다.

찬물 샤워, 순간적인 청량감 vs 자극

여름에 찬물로 샤워하면 더위가 싹 가시는 느낌을 준다. 실제로 찬물은 피부의 모세혈관을 수축시켜 체온을 빠르게 낮추고, 피로 해소에도 일시적인 효과를 준다. 또 피부 표면의 열기를 빠르게 식혀줘 상쾌함을 주기 때문에 운동 후 혹은 땀을 많이 흘린 뒤에 적합한 방법이다.

하지만 찬물 샤워가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몸이 충분히 더운 상태에서 찬물에 갑자기 노출되면 혈관이 급격히 수축하고,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 특히 고혈압이나 심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은 심장 박동이 빨라지면서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 머리를 찬물로 바로 감는 것도 두통이나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sergey kolesnikov-shutterstock.com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 sergey kolesnikov-shutterstock.com
미지근한 물이 피부와 면역에는 더 유리

전문가들은 여름철 샤워 온도로 ‘30도 안팎의 미지근한 물’을 가장 추천한다. 체온보다 약간 낮은 정도의 물은 땀과 피지 제거에 효과적이고, 피부 자극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찬물에 비해 혈관 수축이 덜해 혈류 순환이 원활해지고, 샤워 후 몸이 오히려 덜 피곤해진다.

또 미지근한 물은 피부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해 건조함과 가려움증을 예방해 준다. 여름철에도 실내 냉방으로 피부가 쉽게 건조해질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온도의 물로 세안하고 샤워하는 것이 피부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뜨거운 물은 피지 분해에는 효과적

일부는 땀과 피지가 많아지는 여름철에 뜨거운 물로 샤워하는 것이 더 개운하다고 느끼기도 한다. 실제로 뜨거운 물은 모공을 열어 피지를 녹이고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38도 이상의 고온 샤워는 피부 표면의 유분막까지 제거해버려 오히려 건조증이나 땀샘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열로 인한 모세혈관 확장으로 피부가 붉어지거나 민감해질 수 있고, 장시간 고온 샤워는 체온을 과도하게 상승시켜 탈수 위험도 높일 수 있다. 여름철에는 뜨거운 물을 피하고, 세정력은 유지하면서 자극은 줄이는 중간 온도를 찾는 것이 좋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생성 이미지
샤워는 ‘온도’보다 ‘순서’와 ‘시간’이 중요하다

여름철에는 샤워 횟수가 많아지는 만큼,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하루 10~15분 이내로 짧게 마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외출 후 샤워할 때는 먼저 손과 발부터 물에 적응시킨 뒤 전신에 물을 뿌리는 것이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한 쇼크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샴푸나 바디워시는 땀이 난 부위 위주로 소량만 사용해 잔여물 축적을 줄이고, 샤워 후에는 수건으로 물기를 가볍게 눌러 닦은 뒤 보습제를 바르면 피부 보호에 도움이 된다.

더위를 이기려는 샤워, 건강도 함께 챙기자

무작정 차가운 물로 샤워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순간적인 청량감은 줄 수 있지만, 그 뒤에 오는 급격한 체온 변화나 혈관 반응은 오히려 몸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여름철에는 미지근한 물로 짧고 부드럽게 샤워하는 것이 체온 조절에도 좋고, 피부 건강과 면역력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뜨거운 날일수록 조급하게 찬물로 씻기보다는, 몸의 신호에 귀 기울이며 편안하게 샤워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home 위키헬스 기자 wikihealth75@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