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도 속았다…건강식품으로 소개했다는 '이것’, 만지기만 해도 위험
2025-07-08 14:00
add remove print link
국립산림과학원, 인터넷 허위정보 확산에 주의 당부
최근 맹독성 버섯인 붉은사슴뿔버섯이 온라인상에서 면역력 강화, 항암 효과가 있는 ‘약용 버섯’이라며 조리법까지 공유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붉은사슴뿔버섯을 식용할 수 있는 버섯으로 소개하거나 관련 음식 레시피를 공유하는 사례가 확산함에 따라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지난 7일 밝혔다.
붉은사슴뿔버섯은 화려한 외형으로 눈에 잘 띄지만, 소량만 섭취해도 치명적인 중독 증상을 일으키는 맹독성 버섯이다. 이 버섯에 함유된 트리코테신 계열 독성물질은 소화기뿐 아니라 신경계, 호흡기, 피부, 혈액 등에 광범위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가 약한 사람이 만졌을 경우 피부 괴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섭취 시에는 수 분 내로 중독 증세가 나타나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맹독성 버섯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일부 AI 기반 검색 서비스와 온라인 블로그에서 붉은사슴뿔버섯을 면역력 강화, 항암, 항산화 등에 효과가 있는 약용 버섯으로 잘못 소개하는 사례가 확산하고 있다.
붉은사슴뿔버섯이 면역력 강화나 항암에 도움이 된다는 오해는 과거 연구 결과에서 비롯됐다. 국립산림과학원과 성균관대학교 연구팀이 붉은사슴뿔버섯에서 발견된 ‘로리딘E’라는 물질이 유방암 치료제인 독소루비신보다 500배 이상 강력한 항암 효능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혔기 때문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해당 효능은 버섯 자체가 아닌 특정 성분을 분리·정제한 결과일 뿐 야생 버섯을 섭취해도 안전하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야생에서 채취한 버섯은 독버섯과 식용버섯을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워 섭취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조금이라도 의심스러운 버섯은 채취하지 말아야 하며 섭취 후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이용연구과 박응준 과장은 “야생 버섯은 전문가조차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에 현혹되어 섭취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