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당 떠나라” 직격했지만... 맥 빠지는 국민의힘 인적 쇄신

2025-07-14 08:33

add remove print link

혁신위 두고 당내 갈등 확산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출범 나흘 만에 인적 쇄신 논란의 중심에 섰다. 혁신위가 탄핵·계엄 에 대한 사죄, 대표 단일 지도체제 전환에 이어 인적 쇄신을 언급하자 당 안팎에서 거센 반발이 터져 나왔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13일 3호 혁신안을 발표했지만 기대와 달리 구체적인 대상이나 출당 여부 등을 명시하지 않고 여당 시절 주요 실책 8가지를 나열하는 데 그치면서 실효성 논란까지 불거졌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 뉴스1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 뉴스1

윤 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 브리핑에서 “당원들을 절망하고 수치심 느끼게 한 사건들”이라며 대선 실패, 후보 단일화 입장 번복, 계엄 직후 관저 앞 시위 등 8대 사건을 언급했다.

그는 “탄핵의 바다를 건너지 못하게 막고 있는 분들이 반성 0순위가 돼야 한다”라면서 "당이 새로워지겠다는 것을 가로막고 '아무것도 필요 없다'고 얘기하는 분들은 당을 떠나야 한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이처럼 혁신안에 반기를 든 의원들을 '인적 쇄신 0순위'로 직격했지만 인적 쇄신의 범위나 구체적인 방식은 밝히지 않았다.

앞서 혁신위는 출범 하루 만인 지난 10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단절을 선언하며 계엄·탄핵 사태에 대한 사과를 당헌·당규에 명시하자는 ‘1호 혁신안’을 제안했다. 이튿날엔 현 최고위원회를 폐지하고 단일 지도체제로 전환하는 ‘2호 혁신안’을 내놓았다. 이후 3호 안으로 인적 쇄신을 공론화했지만 정작 발표 당일엔 예상과 달리 한발 물러섰다. 당내에서 혁신위가 인적 청산의 칼자루를 쥘 권한이 있는지를 두고 강한 반발이 일기 때문이다.

실제 당권 주자와 원외 당협위원장 등 중진 의원들은 인적 쇄신안에 반발하며 “언제까지 사과만 할 것이냐”, “역주행이다” 등의 비판을 쏟아냈다. 장동혁 의원은 계엄·탄핵 사죄를 비판하며 반대했고, 나경원 의원은 “의견수렴 없는 혁신안은 분열을 반복하는 자충수”라고 주장했다. 안철수 전 혁신위원장도 지도체제 개편안을 두고 “당원의 최고위원 선택권을 빼앗는 것”이라며 당내 민주주의 후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반발 속에 혁신위 내부에서도 인적 쇄신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혁신위원은 “위원장이 설명한 것 이상은 개인 해석이 될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실제로 이날 3호 혁신안으로 출당이나 공천 배제 등 강력한 조치를 예고했던 분위기와 달리 윤 위원장은 결국 “지금 이 상황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다”며 책임 범위를 전반으로 확장했다.

윤 위원장이 공개한 8대 사건에는 ▲ 대선 실패 ▲ 대선 후보 교체 시도 ▲ 단일화 입장 번복 ▲ 대통령 관저 앞 시위 ▲ 당원 게시판 논란 ▲ 비례대표 공천 기준 무시 ▲ 특정인을 위한 당헌 개정 ▲ 지난 정권의 국정 왜곡 방치가 있다. 그는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고 벗어나는 것이 쇄신”이라며 당내 모든 계파가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이 같은 방식에 대해 불신이 커지고 있다. “누구에게 단죄의 키를 쥐여주는 것 자체가 무리수였다”는 지적도 나왔다. 일부에서는 지도부가 여론의 파장을 가늠하지 못하고 혁신위의 출범과 안건을 서둘렀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논란이 커지자 당 지도부는 당분간 속도 조절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당내 의견수렴과 비상대책위원회, 의원총회 등 절차를 통해 혁신안의 방향과 수위를 조율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앞으로 혁신안이 더 나올 것으로 보이며, 지금까지의 안건들을 구체화하려면 방법론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