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에 차 내놨다가 위약금 폭탄”… 기승 부리는 중고차 매입 사기 주의보

2025-07-16 11:18

add remove print link

경제난에 중고차 선호 증가… 허위 매입·가격 후려치기 피해 사례 속출
계약금 입금·신분증 요구 등 수법 치밀… 실물 서류 넘기지 말고 이전 등록까지 반드시 확인해야

“당근마켓에 차 내놨다가 위약금 폭탄”… 기승 부리는 중고차 매입 사기 주의보<가상이미지> / 위키트리
“당근마켓에 차 내놨다가 위약금 폭탄”… 기승 부리는 중고차 매입 사기 주의보<가상이미지> / 위키트리

[대전=위키트리 양완영 기자] 경기 침체와 고금리 여파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고차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이를 노린 중고차 매입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당근마켓’이나 중고차 거래 사이트 등에 매물을 올린 일반인을 대상으로 시세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한 뒤 계약금을 미끼로 사기를 벌이는 수법이 확산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대전·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이 같은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중고차를 판매하려고 인터넷 사이트에 차량 매물을 올린 A씨는 “시세보다 높은 가격을 부르며 매입 의사를 밝힌 뒤 계약금부터 송금해왔다”며 “잠시 후 차량 확인을 하러 나온다는 사람이 나타나선 ‘차량 상태가 다르다’며 시세의 절반 이하 가격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A씨가 판매를 거절하자 “계약금을 두 배로 돌려줘야 한다”며 위협까지 받았다고 덧붙였다.

이 수법은 차량 판매 경험이 없는 일반인을 노려 심리적으로 압박하는 방식이다. 차량을 제대로 점검할 능력이 없는 개인 매도자의 약점을 악용해, 트집을 잡아 차량 상태를 과장하거나 고장을 이유로 터무니없이 가격을 낮춘다. 이후 계약 철회를 요구하면 ‘위약금’을 내세워 금전적 손해를 강요하는 식이다.

실제 이들 사기단은 체계적으로 움직인다. 초반에는 고가 매입을 제안하며 믿음을 유도하고, 계약금 일부를 먼저 송금해 신뢰를 확보한다. 이후 현장에서는 허위 주장으로 가격을 낮추고, 매도자가 거절할 경우 법적 효력 여부와 상관없이 위약금 조항을 내세워 금전을 갈취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피해자가 자신의 인감, 신분증, 차량등록증 등의 실물을 이미 넘긴 경우가 많아, 법적 대응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중고차 매도 시 다음과 같은 유의사항을 강조한다. 먼저, 계약금은 절대 먼저 입금받지 말 것, 그리고 상대방이 차량등록증, 신분증, 인감 등을 요구할 경우 실물은 절대 넘기지 말고 사진으로만 제공할 것이 기본 수칙이다. 또한 매입자가 정식 등록된 업체의 직원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사원증이나 사업자등록증 제시를 요구해야 한다. 차량 매매 계약은 계약서 작성과 동시에 전액 대금 입금이 완료된 뒤, 차량등록사업소 또는 시청 교통행정과 등 공식 기관에서 이전 등록을 확인해야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대전시청 관계자는 “정식 등록 업체와의 거래가 아닌 경우, 개인 간 거래에서 서류나 계약금 관련 문제로 피해를 입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서류 요구나 계약금 선입금 등 의심스러운 접근에는 반드시 거리를 두고, 차량 이전 등록까지 철저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중고차 시장의 비대면화와 개인 간 거래가 늘어나면서 이 같은 사기 수법도 점점 더 교묘해지고 있다. 더 많은 시민 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도 정확한 정보와 경각심, 그리고 공적 장치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home 양완영 기자 top0322@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