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식당엔 쌓여있는데...북한에선 우승해도 못 먹는다는 '이것' 정체

2025-07-19 09:30

add remove print link

탈북한 축구선수 강세계 씨, 한국 한식뷔페에 충격 받은 이유

2020년 북한에서 넘어온 프로축구선수 강세계 씨가 한국의 평범한 한식뷔페에서 문화 충격을 받는 모습으로 눈길을 끌었다.

한국 한식뷔페를 즐기는 전 북한 축구 선수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한국 한식뷔페를 즐기는 전 북한 축구 선수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어디서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식혜가 북한에서는 선수 생활을 하며 우승을 해도 한 번도 맛볼 수 없었던 음식이었다는 사실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유튜브 채널 '사이다: 사실은 이렇습니다'에는 '최근 탈북한 축구선수가 7500원 한식뷔페에서 충격받은 이유'라는 제목의 영상이 업로드됐다. 해당 영상에서 서울 성수동의 한 한식뷔페를 찾은 강 씨는 백미밥부터 각종 반찬, 치킨, 냉모밀까지 다양한 음식들을 보며 연신 감탄했다.

그는 "이게 진짜 뷔페가... 와 장난 아니다. 이게 북한 같은 경우는 없으니까"라며 놀라워했다.

한국의 한식뷔페에 감탄하는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한국의 한식뷔페에 감탄하는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특히 그의 시선을 사로잡은 것은 식혜였다. 강 씨는 "한국만의 특산물이라고 해야 하나. 북한에서는 식혜를 못 먹어 봤다. 식혜라는 개념을 잘 몰랐던 것 같다. 여기(한국)는 근데 식혜를 많이 드시더라. 맛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에서 프로축구선수로 활동하며 2부 리그까지 뛰었지만, 우승을 하거나 좋은 성과를 거둬도 식혜 같은 음식은 접해볼 기회가 없었다고 전했다. 한국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식혜가 북한에서는 접하기 힘든 레어템이었던 셈이다.

실제로 한국에서 식혜는 한식뷔페, 일반 식당에서 흔히 제공되는 전통 음료다. 저렴한 한식뷔페에서도 밥과 반찬, 국뿐 아니라 식혜나 수정과 등 전통 음료가 무한 리필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쌓여있다'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한국 한식뷔페에서 식혜를 즐기는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한국 한식뷔페에서 식혜를 즐기는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반면 북한에서는 식혜가 귀한 음료에 해당하며, 일상적으로 식당이나 생활 속에서 접근할 수 있는 음식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공식 체육대회 우승이나 단체 행사 등 특별한 상황에서도 음식·음료 제공이 제한적이라고 한다.

강 씨와 같은 탈북민들이 한식 뷔페 첫 경험에서 놀라워하는 부분이 바로 이렇게 '다양한 음식과 음료가 한꺼번에, 아무런 제약 없이 제공되는 것'이라고 한다.

강 씨가 한국의 뷔페 문화를 처음 접한 것은 탈북 후 국정원에서 조사를 받을 때였다. 그는 "국정원 뷔페는 여기보다 더 잘 돼 있다. 아침, 점심, 저녁으로 메뉴가 바뀌는데, (가격대가 좀 있는) 프랜차이즈 뷔페 전문점 있지 않나. 국정원 뷔페가 그 절반 정도는 된다"라고 회상했다.

그는 당시를 떠올리며 "아우 여기 휴양생활 하러 왔나. 국정원이 뭐 조사를 받는 곳인데 아 너무나 잘해 주는 거 아니냐"라고 말할 정도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국정원 조사 당시 한국 뷔페 문화를 처음 접했다는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정원 조사 당시 한국 뷔페 문화를 처음 접했다는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강 씨는 북한 축구계의 어두운 면도 공개했다. 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도 감독에게 뇌물을 안 주면 경기에 나설 수 없는 구조였다고 털어놨다.

그는 "선생님한테 뇌물이라고 해야 되나. 돈을 좀 주고 경기를 뛰는 그런 게 있었다. 저 같은 경우는 돈이 없지 않냐. 그러다 보니까 뭐 내가 저 친구보다는 확실하게 잘 차고 경기에 나갈 수 있는 사람인데 선생님한테 돈을 못 줘 가지고 경기를 못 뛴다거나 이런 거는 진짜 많았다"라고 토로했다.

이날 강 씨는 한국 사람들의 친절함에도 깊은 감동을 받았다. 이날 뷔페에서도 사장이 직접 식혜를 가져다주며 "많이 먹으라"고 권했고, 결국 식사비도 받지 않았다고 한다.

한국의 서비스 문화에 감탄한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한국의 서비스 문화에 감탄한 강세계 씨 /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북에서는 대부분 이런(모밀 같은 추가 음식) 서비스를 만약에 손님이 지나갔다면 말을 하지 않는다. 아껴야 되니까. 아마 제가 그쪽(북한)에서 장사를 했다고 해도 사장 입장이었으면 말을 안 했을 거다"라며 한국과 북한의 서비스 문화 차이를 설명했다.

강 씨는 "북한에서 왔다고 하니까 사장님들이 또 먼 데서 왔는데 고생을 했다 하면서 결제를 안 받고 그냥 가라고 하시더라. 이런 경험이 처음은 아니고 한 세 번째 된다"라며 한국 사회의 따뜻함을 전했다.

유튜브, 사이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한편 강 씨는 북한에서 꽃제비 생활을 하다가 우연히 축구를 시작하게 됐고, 감독의 스카우트를 받아 2부 리그까지 올라갔다고 밝혔다.

home 윤희정 기자 hjyu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