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서 불티나게 팔린다…무려 199.9% 매출 급증한 '국민 식재료' 정체

2025-07-24 15:59

add remove print link

소비쿠폰 풀리자 이틀간 매출 급증한 국민 식재료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민생회복 소비쿠폰 풀리자 편의점에서 매출이 200% 가까이 급상승한 국민 식재료가 관심을 끌었다. 바로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국민 식재료인 '한우'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풀리자 편의점에서 고기류는 물론 쌀과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등 평소 자주 팔리지 않던 품목까지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된 22∼23일 이틀간 매출은 전달 같은 요일(6월 24∼25일)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편의점 이마트24는 해당 기간 매출이 10% 증가했다고 밝혔다. 품목별로 보면 소고기 등 고기류와 간편식 등 먹거리, 생필품 소비가 크게 늘었다.

편의점 GS25에서는 해당 기간 국민 식재료인 한우 매출이 급증해 눈길을 끌었다. GS25에서 이틀간 국·탕·찌개 매출은 326.6%, 한우는 199.9%, 국산 돈육은 72.6% 각각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름철 폭염은 높은 기온과 습도로 인해 신체에 큰 부담을 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우 등 보양식 섭취가 중요하다. 한우는 고품질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해 면역력 강화와 근육 유지에 기여한다. 또 한우에 포함된 철분과 아연은 빈혈 예방과 신진대사 촉진에 효과적이다. 폭염 속 땀으로 손실된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해 한우를 적절히 조리해 섭취하면 체력 유지와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이 된다. 단 과도한 섭취는 피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해야 한다.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한우 자료 사진 / 뉴스1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한우 자료 사진 / 뉴스1

편의점 CU의 경우 도시락·김밥·샌드위치 등 간편식 매출은 22.7%, 즉석밥은 28.3%, 음료 매출은 44.5% 각각 증가했다.

특히 편의점에서 자주 팔리는 않는 쌀과 잡곡 등 양곡류의 이틀간 매출 증가율도 GS25 12.9%, CU 25.0%, 세븐일레븐 50.0%, 이마트24 94.0%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고급 아이스크림 매출도 CU 33.0%, 세븐일레븐 50.0%, 이마트24 86.0% 등 각각 신장률을 보였다.

또 GS25에서는 롤티슈와 과일 통조림의 이틀간 매출이 각각 42.9%, 33.3% 증가했다. 세븐일레븐에선 기저귀 매출이 70.0% 늘었고 티슈 등 위생용품은 30.0%, 여성용품은 20.0% 각각 증가했다. 이마트24에서는 세제류와 자외선차단제 매출이 각각 41.0%와 208%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편의점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먹거리는 물론 상황별 필요에 따라 가끔 구매가 이뤄지는 품목의 매출 증가가 유의미해 보인다"라며 "쌀과 여성용품, 세제, 자외선 차단제 등 소비기한이 긴 제품들이 잘 팔리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주요 편의점 업체들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순차로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 매출이 더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7월 21일 오전 9시부터 오는 9월 12일 오후 6시까지 약 8주간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을 받는다.

신청 첫 주인 21∼25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요일제로 신청받았다. 이후에는 출생연도와 상관없이 신청을 받는다. 소비쿠폰 지급은 신청 다음날 이뤄진다.

국민 1인에게 기본 15만 원을 지급하며 상위계층과 한부모가족은 1인당 30만 원, 기초생활수급자는 1인당 40만 원을 받는다. 서울·인천·경기를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 주민에게는 3만 원이, 농어촌 인구감소 지역 주민에게는 5만 원이 추가로 지급된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는 대형마트와 백화점, 유흥업소를 제외한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 업체다. 사용 기한은 11월 30일이다.

home 손기영 기자 sky@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