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복판 59년 지름길 역사 속으로…운전자들 '이곳'으로 우회하세요
2025-07-29 11:28
add remove print link
오는 9월 21일부터 양방향 전면 통제
신규 고가도로, 2028년 2월 준공 목표
1966년 완공돼 서울 도심의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해온 ‘서소문고가차도’가 59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서울시는 안전상의 이유로 서소문 고가차도를 철거하기로 결정하고 오는 8월 17일 0시부터 본격적인 해체 작업에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서소문고가차도는 서울 중구 충정로역과 시청역을 연결하는 길이 335m, 폭 14.9m의 구조물로 총 18개의 교각으로 구성돼 있다. 하루 평균 4만 대 이상이 오갈 만큼 도심 교통의 핵심축으로 기능해 왔지만, 구조물의 노후화와 반복된 손상으로 시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지난 2019년 정밀안전진단에서 주요 부재 손상 및 구조적 위험이 확인돼 안전성 ‘D등급’을 판정받았고, 같은 해에는 교각 콘크리트 조각이 도로 위로 떨어지는 사고도 발생했다. 이후에도 콘크리트 탈락, 강선 파손 등 손상이 이어지자 서울시는 단순 보수로는 구조적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고 판단해 철거 결정을 내렸다.
서울시는 시민 불편과 교통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적 차로 축소 방식으로 철거 작업을 진행한다. 우선 8월 17일에는 시청에서 충정로 방향 1개 차로를 폐쇄하고, 24일부터는 반대 방향 차로도 추가로 폐쇄한다. 이후 9월 21일 0시부터는 양방향 전면 통제에 들어가 본격적인 해체 공사를 시작한다. 철거는 약 10개월간 진행되며, 내년 5월까지 철거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는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대중교통 우회 계획을 마련했다. 현재 서소문로를 통과하는 43개 버스 노선 중 광역버스 20개 노선은 8월 17일부터 우회 운행에 들어간다. 이 중 인천 지역 11개 노선은 홍대입구역 등에서 회차하며 경기 지역 9개 노선은 통일로, 사직로, 새문안로 등을 경유해 도심 진입을 최대한 억제한다. 서울 시내버스 23개 노선 가운데 일부도 9월 21일 전면 통제 시점부터 우회 운행되며 필요시 조기 조정도 검토 중이다.
일반 차량에 대해서도 서울시는 공사 기간 동안 서소문로 대신 인근 우회도로 이용을 당부했다.
마포구에서 중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은 몇 가지 우회 경로를 활용할 수 있다. 성산로를 따라오면 사직로를 통해 진입할 수 있고, 신촌로를 이용할 경우 충정로와 새문안로를 거쳐 중구 방면으로 우회가 가능하다. 또 청파로를 경유하면 칠패로를 지나 세종대로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다.
반대로 중구에서 마포구로 향하는 경우에는 세종대로에서 사직로와 성산로를 잇는 경로를 이용하면 되고, 새문안로에서 충정로를 거쳐 이동하는 방법도 있다. 이밖에 청파로나 만리재로를 통해서도 마포 방면으로 우회할 수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전날 철거 예정 현장을 방문해 시민들의 양해를 구하며 “서소문고가차도는 도심 교통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해왔지만, 지금은 시민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상태”라며 “철거는 불가피한 조치”라고 밝혔다. 이어 “철거 과정에서 교통 불편이 예상되는 만큼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라”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내년 5월 철거를 완료한 뒤 곧바로 신설 고가차도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신설 공사는 2028년 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새로 조성될 고가차도는 기존 서소문고가차도의 역할을 계승해 서울 서부와 도심을 잇는 핵심축으로 기능하게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