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폭염에 쓰러진다…온열질환자 무려 3000명 넘어섰다

2025-08-02 17:05

add remove print link

작년 같은 기간의 2.3배…누적 사망자는 18명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열대야로 올여름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사람이 3000명을 넘겼다.

서울지역 폭염경보 자료 사진 / 뉴스1
서울지역 폭염경보 자료 사진 / 뉴스1

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하루 동안 전국 516곳 응급실에 접수된 온열질환자는 총 87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올해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가 가동된 5월 15일부터 지금까지 누적 환자 수는 3049명에 달한다.

질병청이 온열질환 감시를 시작한 2011년 이후, 연간 환자 수가 3000명을 넘긴 해는 지금까지 단 두 번뿐이었다. 역대급 폭염을 기록한 2018년(4526명)과 작년(2024년, 3704명)이다.

올해는 초여름부터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 탓에, 지난해 같은 기간(5월 20일~8월 1일)보다 환자 수가 약 2.3배 많았다.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도 역대 상위권에 이름을 올릴 가능성이 크다.

사망자 수도 늘었다. 현재까지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18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명)의 두 배가 넘는다.

3049명의 환자 중 31.8%는 65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증상별로는 열탈진이 61.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열사병(16.4%), 열경련(13.0%), 열실신(8.3%)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가 발생한 장소는 작업장(31.8%)이 가장 많았고, 논밭(11.7%) 등 실외 공간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실내 작업장(7.4%)이나 집안(6.1%)에서도 온열질환이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자주 샤워를 하고, 가볍고 밝은색의 헐렁한 옷을 입는 것이 좋다. 갈증이 나지 않아도 물을 자주 마시는 습관이 필요하다.

특히 한낮인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야외 작업이나 운동을 피하고, 될 수 있으면 시원한 실내에서 머무는 게 안전하다.

home 김희은 기자 1127khe@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