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마켓 압도적으로 제쳤다... '소비쿠폰 사용 후 매출 급증한 업종' 1위는

2025-08-04 10:31

add remove print link

미용·의류·잡화 분야 매출 증가 효과 1위... 한 주 만에 37.4% 늘어

7월 30일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한 동네 슈퍼마켓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안내 문구가 적혀있다.  / 뉴스1
7월 30일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한 동네 슈퍼마켓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안내 문구가 적혀있다. / 뉴스1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시작된 지 일주일 만에 전국 KB국민카드 가맹점 매출이 평균 14% 정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슈퍼마켓과 미용실 같은 생활 밀착 업종에서 매출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단기적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서울경제신문은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소비쿠폰 결제가 한 번이라도 이뤄진 KB국민카드 가맹점 63만 1000여 곳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수치를 확인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이 기간 가맹점 매출은 직전 주(7월 15일~21일)보다 14.2% 증가한 9263억 원이다. 정부는 지난달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을 받아 다음 날인 22일부터 실제 지급을 시작했다.

업종별로는 미용·의류·잡화 분야에서 매출 증가 효과가 가장 두드러졌다. 한 주 만에 37.4% 늘어났다. 슈퍼마켓도 22.2%로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차량 관련 업종인 카센터와 주유소(21.1%), 여행·스포츠·문화·취미(16.7%), 커피·음료(16.6%) 등도 매출 성장률이 전체 평균을 상회했다. 카드 업계에 따르면 소비쿠폰이 풀린 첫 주말인 지난달 26일부터 27일까지 관련 소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계 관계자는 "주말을 전후로 소비쿠폰 소비가 본격적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광주시(24.9%)의 매출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졌다. 이어 대전시(22.1%), 부산시(18.7%), 대구시(17.3%) 순으로 매출 증가율이 높았다. 서울시는 11.8%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경기도는 12.9%를 기록했다.

한편 시장조사기관 마크로밀 엠브레인이 최근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데이터 분석' 자료에 따르면 편의점, 병원, 카페 등 생활 밀착형 업종에서 소비쿠폰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지난달 22~28일 1차 결제 데이터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사용 비중을 기록한 업종은 편의점(11.3%)이었다. 의료·건강 분야(5.0%), 카페(4.4%), 일반 음식점(3.9%)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 소비 패턴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0대와 30대는 편의점(각각 32.0%, 37.7%)과 카페(각각 16.0%, 22.9%)를 주로 이용했다. 고연령층은 병원이나 약국 등 건강 관련 지출에 집중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편의점(32.8%) 이용 비중이 가장 높았고, 여성은 카페(17.4%)와 베이커리(7.3%)에서 높은 사용률을 보였다.

소득 수준에 따라 사용 업종도 달랐다. 연소득이 낮다고 응답한 그룹은 마트나 할인점(연소득 1000만원 미만 10.7%, 1000만~3000만원 미만 10.3%, 3000만~5000만원 미만 6.7%) 등 생필품 위주 업종에서 쿠폰을 많이 사용했다. 안경점 등 고가 품목에서도 사용률이 높았으며(1000만원 미만 3.1%, 1000만~3000만원 미만 1.5%, 3000만~5000만원 미만 1.8%), 생계 보조 수단으로 쿠폰을 활용한 모습이 뚜렷했다. 반면 소득이 높은 층에서는 교육 분야에서 소비쿠폰 사용이 두드러졌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이 7월 28일 오후 전남 나주시 동강면 하나로마트 동강농협본점을 찾아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현황을 청취하고 추가 지원사항에 관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 행정안전부 제공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이 7월 28일 오후 전남 나주시 동강면 하나로마트 동강농협본점을 찾아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현황을 청취하고 추가 지원사항에 관한 의견을 나누고 있다. / 행정안전부 제공

home 채석원 기자 jdtimes@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