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채일 국방홍보원장 직위 해제하고 수사 의뢰
2025-08-04 16:36
add remove print link
국방일보 기사에 편향적으로 개입한 의혹
이번 감사는 국민권익위원회에 접수된 공익신고가 계기가 됐다. 신고 내용에는 채 원장이 국방일보 보도 내용에 직접 개입하며 직권을 남용하고 폭언을 일삼았다는 주장이 담겼다. 국방부는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징계 절차를 밟기로 했고, 형법상 강요죄와 명예훼손죄에 해당할 여지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수사를 의뢰했다.
채 원장은 재직 중 수차례 언론 통제 논란에 휩싸였다. 가장 최근에는 안규백 국방부 장관의 취임사 보도 관련 논란이 대표적이다. 국방일보가 장관의 취임사를 다루면서 12·3 계엄과 관련된 핵심 발언을 기사에서 누락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는데,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이 문제를 직접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안 장관에게 “국방일보가 장관님의 취임사를 편집해서 핵심 메시지를 빼버렸다던데 기강을 잘 잡으셔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채 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직후인 지난해 12월 국방일보에 계엄을 옹호하는 기사를 1면에 싣도록 지시했다. 이듬해 1월에는 한겨레, 경향신문 등 진보 성향 매체에 대해 ‘좌파 성향’이라며 절독을 지시했고, 그 대신 극우 성향 매체로 알려진 스카이데일리의 구독을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스카이데일리는 ‘선거연수원에서 중국인 간첩 99명이 체포됐다’는 허위 보도를 내보낸 바 있다.
채 원장은 이 대통령이 취임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첫 전화 통화를 했을 때도 “한국 대통령실만 이 사실을 발표했을 뿐 미국 쪽 공식 발표가 없다”며 해당 보도를 1면에서 삭제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백악관이 공식적으로 통화 사실을 확인했다. 당시 국방일보의 관련 기사 작성에 참여한 기자들은 출입처가 바뀌는 등 인사상 불이익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 대통령의 G7 정상회의 참석 성과를 다룬 외부 필자의 기고문이 채 원장 반대로 인해 국방일보에 게재되지 못한 사실도 확인됐다.
채 원장의 보도 개입은 국방홍보원 내부에서 적지 않은 반발을 불렀다. 채 원장은 자신에게 반대 의견을 낸 직원들을 ‘종북좌파’로 낙인찍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1959년생인 채 원장은 KBS 기자 출신이다. 아주대학교와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에서 각각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다. KBS 스포츠취재부장 시절인 2011년엔 부하 기자에게 폭언과 폭행을 가해 물의를 일으킨 전력이 있다. 당시 그는 보직에서 사퇴했다. 이후 2022년 대선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캠프의 공보 특보로 참여했고, 2023년 5월 윤 전 대통령에 의해 국방홍보원장에 임명됐다.
국방부는 “사안의 중대성과 공정한 조사 필요성을 감안해 엄정하게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