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간송미술관, 교과서 속 문화유산으로 만나는 K-컬쳐

2025-08-06 15:00

add remove print link

여름방학, K-컬쳐 열풍으로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 이어져

청자상감운학문매병.  / 대구간송미술관 제공
청자상감운학문매병. / 대구간송미술관 제공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 / 대구간송미술관 제공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 / 대구간송미술관 제공

[대구=위키트리]전병수 기자=최근 ‘케데헌(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열풍으로 K-컬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대구간송미술관에서 전시되는 국보급 문화유산에도 전국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름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7월 마지막 주 대구간송미술관을 찾은 관람객은 일 평균 1500명을 넘어셨으며, 대구 이외에서 방문하는 관람객은 48.7%, 그중 서울과 수도권에서 방문한 관람객은 15.5%를 달성했다.

미술관 상설전시실에는 간송 전형필 선생이 ‘문화보국(文化保國)’ 정신으로 일생을 바쳐 지켜낸 우리 문화유산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전시가 마련돼 있다.

전시장에서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작품은 도자다. 전시장 중앙에는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를 대표하는 국보 '청자상감운학문매병',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이 오백 년의 시간을 넘어 나란히 마주하고 있다.

청자상감운학문매병은 완벽한 형태미와 정교한 문양으로 현존하는 고려청자 매병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와 함께 백자청화철채동채초충난국문병은 조선백자에서 사용되는 모든 안료와 다양한 조각 기법이 완벽하게 구현돼 문화적으로 절정에 달했던 조선 후기의 절제된 화려함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다.

이 두 점의 국보 도자를 담고 있는 목재 진열장은 1938년 간송 선생이 직접 주문해 제작한 것으로, 문화로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간송 전형필 선생의 뜻과 헌신적인 노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또 현재 대구간송미술관 상설전에전 혜원전신첩의 30개 작품 중 '연소답청', '상춘야흥', '춘색만원', '소년전홍' 4점의 작품도 선보인다.

'혜원전신첩(국보)'은 혜원 신윤복이 그린 총 30점의 풍속화를 담고 있는 한 권의 책(화첩)이다. 신윤복은 조선 후기 풍속화의 대미를 장식한 화가로 당시 양반의 풍류와 행락을 비롯한 조선 후기 선조들의 삶과 정서를 생생하게 전달해 관람객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혜원전신첩은 한때 일본으로 유출됐으나 1935년 간송 전형필 선생이 오사카의 고미술상에서 발견하고 수집해 다시 우리 품에 돌아오게 됐다.

한편 대구간송미술관 상설전은 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입장 마감은 오후 6시다.

home 전병수 기자 jan2111@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