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협력사까지 포함했다… 새 안전 전략 공개
2025-08-06 21:40
add remove print link
산업재해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조치에 선제적으로 방향성 제시해
기아가 노사 공동으로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안전보건 대책을 내놨다. 정부가 산업재해 사망사고 기업에 대한 공공입찰 자격 제한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기아는 선제적으로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한 실천 계획을 구체화했다.

기아는 6일 경기도 광명에 위치한 오토랜드 광명에서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한 노사공동 안전보건 선언식’을 열고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최준영 기아 최고안전보건책임자(CSO) 사장과 하임봉 전국금속노조 기아자동차지부 지부장을 포함한 노사 관계자 16명이 참석했다.
◆ 로봇·AI 활용한 안전 기술 도입

선언문에는 ▲안전 우선 원칙 실천 ▲위험요인 발굴 및 개선 ▲ESG 경영과 연계한 안전경영 ▲안전문화 정착 등 네 가지 실천 방향이 담겼다. 이를 위해 기아는 산업용 착용로봇 ‘엑스블 숄더’와 AI 기반 경고 시스템을 확대 도입하고, 폭염 피해를 막기 위한 냉방시스템을 강화한다. 협력사 맞춤형 안전 지원 프로그램과 노사 공동 안전 캐릭터 ‘수호’를 활용한 캠페인도 전개할 계획이다.
기아 관계자는 “실효성 있는 조치를 위해 협력사까지 책임을 함께 나누고 지속 가능한 안전 문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정부, ‘사망 1명만 나와도’ 입찰 제한 추진
기아의 이번 선언은 정부의 규제 강화 흐름과 맞물려 있다. 6일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발생한 기업의 공공입찰 자격을 기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동시 사망자 2명 이상’에서 ‘사망자 1명’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김종윤 고용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사망사고가 반복돼도 제재가 어려운 구조”라며 “입찰 제한 요건을 새롭게 설정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강희업 국토부 2차관도 “사망사고 발생 기관을 공공사업 입찰에서 배제하거나 경영평가에서 감점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기아의 이번 선언은 이러한 규제 강화 기조에 맞춰 산업계가 선제적으로 대응책을 내놓은 사례로 평가된다.
※ 더 많은 자동차 관련 소식은 모빌리티 전문 매체 '카앤모어'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