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계엄 시도해서 죽거나 다친 사람 있나"...한동훈, 거세게 비판
2025-08-07 19:20
add remove print link
계엄령, 헌법 수호의 시험대에 선 국민의힘
한동훈의 쓴소리, 당내 갈등의 민낯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김문수 당 대표 후보의 계엄 관련 발언을 비판하고 나섰다.
한 전 대표는 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계엄을 막았으니 유혈사태가 안 난 것이지, 유혈사태가 안 났으니 계엄이 별거 아닌 것이 되는 게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김 후보가 이날 유튜브 토론회에서 계엄령 시도에 대해 “누가 죽거나 다쳤느냐”며 사건의 심각성을 낮게 본 발언에 대한 반박으로 풀이된다.

한 전 대표는 “2023년 12월 3일 밤, 계엄이 유지됐다면 대규모 국민 저항으로 정권은 전복되고, 국민의힘은 완전히 소멸됐을 것”이라며 “그날 헌정질서가 무너지기 직전까지 갔고, 이를 막아낸 건 당시 헌법기관들과 시민의 경각심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후 결과만 보고 사태를 과소평가하는 것은 헌법 수호 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김문수 후보는 같은 날 열린 ‘자유 우파 유튜브 연합 토론회’에 참석해 계엄령 논란과 관련된 질문을 받았다.
그는 “저는 계엄에 찬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분(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을 해서 누가 죽거나 다쳤느냐. 6시간 만에 해제되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이 발언은 당시 계엄령 발동 시도의 현실적인 결과가 크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김 후보는 이어 “우리 당이 뽑은 대통령이 다 이렇게 구속되는 것에 대해 반성하고 고쳐야 한다”고 발언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사법 처리에 관해서도 당의 내부적 책임을 언급하며, 정치적 탄압이라는 일각의 주장과는 다른 시각을 보이기도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퇴임 직후였던 2023년 12월, 당시 군 수뇌부와 비상계엄 검토를 논의했다는 혐의로 특별수사단의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당시 상황에서 비상계엄이 현실화될 경우 민주적 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었던 정황이 있었다고 보고 수사를 진행했다.
이후 윤 전 대통령은 직권남용, 내란예비음모 등의 혐의로 구속됐으며, 이와 관련한 사법 절차는 현재 진행 중이다.
국방부와 헌법재판소는 2024년 초 관련 사안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으나, 다수의 헌법학자들과 시민단체는 “비상계엄은 헌정체제에 대한 명백한 위협”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특히 당시 계엄 검토 문건에는 국회의 기능을 제한하고 언론 통제를 포함한 계획이 담겨 있었던 것으로 확인돼 정치권 안팎의 우려를 샀다.
한 전 대표의 이 같은 비판은 당내 계엄령 논란에 대한 정리되지 않은 시각 차이를 드러낸다. 국민의힘은 2025년 8월 현재 당 대표 선거를 앞두고 있으며, 후보자 간 정책 및 역사 인식에 대한 입장차가 부각되고 있다. 당내에서는 계엄 시도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정리하고, 헌법 질서에 대한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는 요구도 나오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당이 극단적 정치 상황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세우지 못하면 향후 대선이나 총선 과정에서도 큰 혼선을 겪을 수 있다”며 “당 지도부의 입장 정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는 오는 8월 말로 예정되어 있으며, 주요 후보자들의 공식 토론회 일정도 이달 중순부터 본격화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