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금시세(금값) 전망] 글로벌 경제 상황·기술 분석 등 국제 금가격 영향 요인은?

2025-08-10 09:47

add remove print link

지난주 국제 금값 3398달러에 마감

골드바 / FOTOGRIN-shutterstock.com
골드바 / FOTOGRIN-shutterstock.com

지난주 금가격이 8일(이하 미국 시각) 한때 3409달러까지 치솟으며 기술적 패턴 상 중요한 저항선에 근접했다.

이 움직임은 대칭 삼각형 형태의 상단 경계선까지 도달한 것으로, 만약 금값이 3439달러를 뚫고 올라선다면 새로운 상승세가 점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주 금 현물 종가(8일 기준)는 3398달러를 기록하며 지지난주 종가(1일 기준) 3362달러 대비 1.07% 상승했다.

FX엠파이어(FXEmpire) 등에 따르면 이번 상승은 4월 저점 이후 이어진 강한 반등의 연장선에 있다. 당시 금은 4월 고점이자 사상 최고치인 3500달러까지 상승하며 총 543달러, 약 18.4%의 상승 폭을 기록했다.

이후 금은 조정을 거쳐 대칭 삼각형 패턴 내에서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다. 이 삼각형 패턴의 상단을 돌파할 경우 기술적 관점에서 상승 추세가 다시 강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는다.

만약 이번 주 종가가 3409달러 이상에서 형성될 경우 상승 흐름이 단기적인 반등이 아닌 추세적 전환일 수도 있다. 반면 상단 추세선 돌파에 실패한다면 금시세는 다시 하단 지지선이나 20일 및 50일 이동평균선이 위치한 3355~3350달러 구간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해당 구간은 7월 저점과도 겹치는 핵심 지지선으로, 단기적으로는 주요 관찰 지점이다.

기술 분석상 주요 분기점은 3439달러다. 이 가격대를 뚫는 데 성공하면 금은 다시 사상 최고가인 3500달러를 시험할 가능성이 있다. 이후 상승이 이어질 경우 7월 저점 3268달러로부터의 상승 폭을 기준으로 3811달러까지도 상승 여지가 열릴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삼각형 패턴의 높이를 적용하면 3623달러가 목표가로 제시된다.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상단에서 저항을 받고 하락한다면 금은 다시 3353~3347달러 구간으로 밀릴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격적인 매수세가 유입될 여지도 있다. 반대로 3409달러 아래로 가격이 다시 내려간다면 단기 트레이더들은 실패한 돌파를 근거로 매도 전략을 취할 수 있다.

이처럼 금은 현재 기술적으로 중요한 분기점에 있다. 향후 며칠간의 가격 흐름은 단기 방향성을 결정할 중요한 열쇠다. 새로운 고점을 향해 나아갈 것인지, 아니면 삼각형 안에서 추가적인 조정을 거칠 것인지가 관건이다.

home 방정훈 기자 bluemoon@wikitree.co.kr

NewsC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