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임명식'에 야당은 불참…전직 대통령 2명도 안 올 가능성 높다
2025-08-12 20:29
add remove print link
광복절 국민 임명식의 숨겨진 정치적 파장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이 8월 15일 광복절에 열리는 이재명 대통령의 ‘국민 임명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양당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윤미향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포함된 첫 특별사면에 대한 반대 입장을 이유로 불참을 밝혔다.
12일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조 전 대표와 윤 전 의원 사면이 사회적 갈등을 유발했다고 언급하며, 최근 여당이 노란봉투법과 상법 개정안 등을 단독 처리하려 한 점을 지적했다. 송 위원장은 이러한 상황에서 해당 행사에 참여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도 같은 날 통화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특정 인사에게 관대한 조치를 취하면서 동시에 다른 영역에서는 엄격한 정책을 유지하는 점을 언급하며, 이번 행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보수 진영 전직 대통령들의 불참 가능성도 제기됐다. 중앙일보는 "이명박 전 대통령은 건강상의 이유로 불참 의사를 전달했으며, 박근혜 전 대통령 역시 참석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국민 임명식은 광복절 80주년을 맞아 8월 15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진행된다. 행사 일정은 오후 7시 40분부터 8시 30분까지 문화·예술 공연이 진행되고, 이어 8시 30분부터 30분간 ‘나의 대통령으로 임명한다’는 슬로건 아래 국민 1만여 명이 참석하는 임명식이 열린다.
이 대통령은 6·3 대선 다음 날 국회 로텐더홀에서 약식 취임식을 가진 바 있다. 이번 대선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조기 대선으로 치러졌으며, 당시 취임식에는 국회의장 등 5부 요인과 여야 대표 등 약 300명이 참석했다.
당시 대통령은 추후 정식 취임 행사를 열겠다고 밝혔으며, 이번 국민 임명식이 사실상의 정식 취임식 성격을 띠게 됐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의원들이 1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특별검사팀의 의원실 압수수색을 규탄하고 있다

국민의힘(107석)과 개혁신당(3석)이 불참을 확정한 가운데, 두 전직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을 경우 행사 규모와 상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양당은 지난 11일 이 대통령이 특별사면 및 복권 대상 명단을 확정하기 전부터 반대 입장을 유지해 왔다.
조국 전 대표는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등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아 수감 생활을 했으며, 윤미향 전 의원은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유용 등 혐의로 지난해 11월 대법원에서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보수 진영은 두 인물에 대한 사면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표명해 왔다.
송 위원장은 12일 부산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조 전 대표 사면에 대한 비판 입장을 재차 밝혔다. 또한 조 전 대표의 차기 지방선거 출마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당의 반대 입장을 강조했다.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 역시 11일 발언을 통해 윤 전 의원 사면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표명했다.

고용노동부와 경찰 등 관계 기관은 행사 준비와 별도로 이번 특별사면 절차에 대한 정치권 반응과 사회적 파장을 주시하고 있다. 이번 사면 조치와 ‘국민 임명식’ 불참 결정은 향후 여야 정치 구도 및 광복절 기념 행사 전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