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 조사서 ‘친일 잔재 청산 안됐다’ 70% 이상… 생활만족도 6.4%, 국가지원 불충분 61.6%
2025-08-13 17:58
add remove print link
“독립유공자 후손 자부심 85%…하지만 젊은 세대일수록 낮아져
광복회, ㈜코리아데이터월드 의뢰 조사


광복 80주년을 맞아 진행된 여론조사에서 독립유공자 후손과 일반 국민 모두 대다수가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후손들의 생활 만족도는 10명 중 1명도 채 안 되며, 정부의 보훈 지원이 충분하다고 느끼는 비율 역시 매우 낮았다. 세대가 멀어질수록 후손들의 자부심과 생활만족도 모두 하락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 친일 잔재 청산 인식 "여전히 미흡"
광복회(회장 이종찬)가 광복회 학술원과 함께 ㈜코리아데이터월드에 의뢰해 이달 1~7일 실시한 조사 결과,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독립유공자 후손 78.0%, 일반 국민 70.9%로 집계됐다.
또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사회 요직 진출이 "부적절하다"는 응답은 후손 85.1%, 국민 71.8%였으며, 현재에도 친일 잔재 청산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후손 83.1%, 국민 71.8%로 높았다.후손 집단 내에서는 40대 이하(90.0%)가 다른 세대보다 청산 필요성을 특히 강하게 인식했으며, 50대는 96.6%로 가장 높았다.
한일관계 개선의 핵심 조건으로는 후손과 국민 모두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반성’을 1순위로 꼽았다.
■ 후손 자부심 높지만 ‘젊을수록 낮아’
후손으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비율은 전체 평균 85.0%였지만 세대별 편차가 컸다. 50대는 75.9%로 가장 낮았고, 60대 84.4%, 70대 84.5%, 80대 86.2%를 기록했다. 90대 이상에서는 93.8%로 최고치를 보였다.
국가 보훈 보상과 예우에 대해서는 후손 중 '충분하다'는 평가가 12.7%, 국민은 16.5%에 불과했다. 반대로 ‘부족하다’는 응답은 후손이 57.4%, 국민이 50.7%에 달했다.국가 행사 등에서 예우를 받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후손 30.5%, 국민 22.2%에 그쳤다. 특히 부산·울산·경남, 광주·전라 지역 후손들은 70~80%가 ‘예우 수준이 낮다’고 답했다.
■ 생활만족도 6.4%… 세대 멀수록 ‘불만족’ 심화
후손들의 생활만족도는 평균 6.4%로 매우 낮았다. '보통'은 54.4%, '불만족'은 39.3%였으며, 세대가 멀어질수록 불만족 비율이 높아졌다.독립유공자의 자녀 세대 불만족도는 30.6%였으나, 손자녀 세대에서는 43.6%, 증·고손자녀 세대에서는 51.7%까지 상승했다.
가장 많이 받은 지원은 의료비(69.4%)와 보훈보상금(67.3%)이었으며, 만족도가 높은 지원 항목은 보훈보상금(59.1%), 의료비(50.4%) 순이었다. 그러나 전반적 지원사업 평가에서 ‘불만족’이 40.6%로 높아, 정책 재검토 필요성이 제기됐다.
■ 국가보훈부 지원 ‘충분치 않다’ 61.6%
국가보훈부의 지원이 충분치 않다는 의견은 후손 61.6%, 국민 51.7%로 과반을 차지했다. 특히 부산·울산·경남(81.6%), 광주·전라(78.0%) 지역 후손의 부정평가는 전국 평균보다 크게 높았다.
후손들의 가장 큰 고충은 ‘적은 연금액’(29.4%)이었고, 그 다음은 ‘연금 승계 단절 우려’(25.1%)였다. 반면 일반 국민은 ‘사회적 무관심·차별·편견’(28.8%)을 최대 문제로 인식했다.
두 집단 모두 최우선 정책 과제로 ‘보훈연금 및 지원 대상 확대’를 꼽았으며, 현 정부에 바라는 1순위 과제 역시 후손(58.0%)과 국민(25.3%) 모두 ‘보훈 예산 및 보상 확대’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독립유공자 후손 850명, 일반 국민 1,000명 등 총 1,8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후손 ±3.19%p(유한모집단), 국민 ±3.09%p(무한모집단), 신뢰수준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