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 한마디에 암호화폐 비트코인 급락... 시장 공포 확산
2025-08-15 10:53
add remove print link
"단기 급등락은 앞으로도 반복될 듯"
미국 재무부의 암호화폐(가상화폐·코인) 비트코인(BTC) 매입 중단 방침이 시장에 직접적인 충격을 준 가운데, 가격이 급락하며 12만 달러 밑으로 미끄러져 내려갔다.

비트코인은 14일(이하 한국 시각) 오전 사상 최고가인 12만 4457달러를 기록했지만,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의 발언 이후인 15일 오전 10시 30분 기준 11만 8500달러대까지 후퇴했다.
시장에서는 베센트 장관이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를 통해 “비트코인을 추가로 매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 하락의 직접적 원인이 됐다고 보고 있다.
그는 “우리는 그것을 사지 않을 것”이라며 향후 비트코인 보유분 증가는 압수 자산을 통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기존 보유분에 대해서도 "판매를 중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 규모는 150억 달러에서 200억 달러 사이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예산 중립적인 방식으로 전략적 비트코인 보유량을 늘리라는 행정명령을 내린 것과는 상반된 기조다.
베센트의 발언 이후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 시장 전반에 걸쳐 매도세가 확대됐고, 일부 선물 거래에서는 약 4억 5000만 달러 규모의 포지션 청산이 감지됐다. 이 같은 대규모 청산은 투자자들이 정부 매입 기대감에 따라 선취매에 나섰다가, 정책 방향이 명확히 반대로 확인되자 급격히 포지션을 정리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 정책 변화는 단순한 매입 중단을 넘어 정부가 시장에서 예측 가능한 '큰손 매수자' 역할을 하지 않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는 단기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정부가 직접 매입에 나서지 않는다면 향후 가격 반등 동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비관론도 등장하고 있다.
재무부는 이와 함께 7월에만 약 300억 달러에 달하는 관세 수입을 올렸다고 발표했다. 베센트 장관은 연간 관세 수입이 종전 예상치를 상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자산 운용 전략에 활용할 수도 있다고 시사했다. 그러나 그가 언급한 전략적 자산에는 비트코인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시장은 실망감을 드러냈다.
현재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미국 경제 지표와 정책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특히 같은 날 공개된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년 대비 3.3%, 전월 대비 0.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재차 자극했다. 이는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향후 암호화폐 시장의 방향성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뉴스BTC 등에 따르면 정부의 직접 매입이 아닌 압수 자산을 통한 보유 확대로 전환된 전략은 비트코인 시장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던졌으며 이에 따른 단기 급등락은 앞으로도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